수원호매실 A7·화성동탄 등 LH 아파트 계약 포기 저울질
정부 대출억제에 서민들 ‘분통’
정부가 청약 광풍에 대한 처방책으로 내놓은 대출규제 정책이 오히려 내 집 마련을 꿈꿨던 서민 실수요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아파트 중도금 집단대출이 사실상 막히면서 LH 분양 공공영역에서까지 급기야 청약 당첨자들이 계약 포기를 저울질하는 모양새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27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경기지역본부와 도내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규제 정책에 따라 시중 은행들이 대출억제에 나서면서 이날 현재 중도금 대출 협약은행을 찾지 못한 LH경기본부 관할 주택단지는 5개 단지 4천327가구로 집계됐다.
해당단지는 이달에 공급된 시흥은계 B2블럭(835가구), 하남감일 B7블럭(934가구), 수원호매실 B2블럭(999가구) 3개 단지 블럭과 지난 5~6월 중 분양된 수원호매실 A7블럭(700가구), 화성 동탄지구 A44블럭(859가구) 등 2개 블럭이다.
이로 인해 LH측은 실수요자들의 금융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중도금을 낮추거나 납부 기간을 최소 3개월 이상 연장하는 등의 고육책까지 내놓고 있다. 실제로 시흥은계와 하남감일지구의 경우 내야 할 중도금 비율을 전체금액 중 30%로 낮췄고 수원 호매실지구(B2)는 10%로 대폭 낮춰 실수요자들의 부담 덜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게다가 수원 호매실(B2)의 경우, 내년 9월 중 첫 중도금만 내고 3개월이 지난 12월 잔금 80%를 일괄해 내도록 하는 등 편리를 도모하고 있다.
올 상반기 중 공급된 수원호매실(A7) 등은 이보다 사정이 녹록지가 않다. 수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집단대출 은행 등 뚜렷한 자구책을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단지는 오는 12월 중 첫 중도금 납부일이 임박, 서둘러 납부 기간연장 등 대안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계약을 마친 수요자들은 중도금 납부 등이 어렵게 되자 계약포기까지 저울질하는 등 전전긍긍하고 있다. 앞서 지난 5월 수원호매실(A7) 지구에서 공급된 700여 가구 중 350여 가구가 실제 계약단계에서 중도금 부담을 느낀 나머지 계약을 포기하는 사례까지 발생했다.
수원호매실(A7) 아파트를 계약한 A씨는 “개인적으로 시중은행에 문의한 결과 중도금 대출은 집단대출 외 다른 방법이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며 “만약 연말까지 중도금 대출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계약을 파기해야 할 것 같은데 계약금마저 돌려받을 수 없는 현실이라 답답할 따름”이라고 토로했다.
또 화성동탄 단지 입주자 카페 회원인 B씨도 “중도금을 전액 대출받아야 하는 사정인데, 생각지도 않았던 암초를 만나 머리가 너무 아프다. 요즘은 잠도 설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LH 경기지역본부 관계자는 “시중은행으로만 제한하던 중도금 지급 계약을 지방은행까지 확대해 물색했지만, 사정이 녹록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며 “정부가 공공주택 같은 경우만큼은 규제에서 좀 예외를 시켜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