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론] 인구 300만에 걸맞은 NGO간 협업이 필요하다

그동안 인천은 ‘역사’, ‘최초’라는 두 가지 상징을 가졌다.

 

강화도 고인돌, 마니산 첨성단, 고구려 주몽의 아들 비류가 남구 문학산에 미추홀을 개국하는 등 인천은 우리 민족의 태동이자 뿌리였다. 1883년 인천항 개항 이후 최초의 역사, 최초의 철도, 최초의 등대 등이 인천에 만들어지고 유엔 산하 국제기구인 녹색기후기금(GCF)이 대한민국 최초로 유치되는 등 근대화 이후 최초라 하면 바로 인천이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2016년 10월 19일 인천은 세 번째 상징을 갖게 됐다. 대한민국에서 갖는 인천의 의미가 날로 커지고 있지만 지역경제 규모나 느슨한 연대감, 투표율 최하위, 팍팍한 삶 등이 복합되다 보니 우리시민들이 체감하는 인천 인구 300만의 의미는 여전히 낮아 보인다.

 

인천의 자부심을 키워 인천의 가치를 시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인천시는 재정자립도 향상, 지역경제 및 관광산업 활성화에 역량을 집중함과 동시에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아픈 이웃들에 대한 관심도 재조명하고 있다.

얼마 전 인천형 복지사업으로 틈새 없는 인천복지, 고용·복지·통합 일자리, 생애주기별 돌봄서비스, 공유·나눔·공감 공동체, 건강·안심 복지도시를 5개 중점과제로 선정, 복지 전 분야에서 균형적인 서비스 지원을 하는 ‘인천형 복지모델 설명회’ 개최, 긴급 상황이 발생한 위기가정을 위해 긴급지원 기준을 대폭 완화한 ‘SOS 복지안전벨트’ 구축 등 각고의 노력을 하고 있다.

 

민간분야에서도 애향심을 키울 수 있는 개인별 다양한 나눔과 봉사활동이 늘어나고 있는데 연탄봉사, 급식봉사가 대표적이다. 기업, 단체도 사회공헌 차원에서 나눔활동을 늘려가는 등 나눔과 봉사를 주도하는 NGO활동이 과거와 달리 왕성해지고 있다.

 

하지만 ‘2015 사회조사 통계’를 보게 되면 정기 현금기부를 하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 전국평균 54.5%, 서울 54.6%, 경기 60.8%, 인천은 48.1%, 향후 기부 및 유산 기부 의사가 있냐는 질문에 전국평균 45.2%, 서울 50.2%, 경기 47.5%, 인천 47.4%로 조사돼 인천의 개인별 나눔의식은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민간단체의 일회성 행사, 일부 몇 명만 참여하는 봉사활동이 산발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수많은 NGO가 저마다의 기준을 갖고 운영되다 보니 나눔, 복지활동은 체계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혹여나 위기가정이 긴급지원을 받으려 하면 전화를 걸어야 할 곳이 너무 많아 안타깝기까지 하다.

 

이젠 달라져야 한다. 인구 300만의 의미는 단순히 인구만 늘어난 것이 아니라 복지, 문화, 경제 수준 등이 그만큼 성숙되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300만 인천시대를 맞이하는 이때, 달라진 인천 위상에 맞춰 민간 NGO활동도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협업이 필요하다.

 

황규철 대한적십자사 인천광역시지사 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