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경전철 (주) 연말 파산 가시화, 의정부시도 파산대비 내년 예산편성

사업재구조화를 놓고 협상을 벌이던 의정부시와 특수목적법인(SPC)인 의정부 경전철㈜가 한 달 넘게 대화조차 하지 않고 파산에 대비해 내년도 예산을 편성하고 파산신청 로드맵 준비에 나서는 등 각자의 길을 걷고 있어 의정부 경전철㈜의 파산이 가시화하고 있다. 

10일 의정부 경전철㈜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9월 29일 협상서 의정부 경전철㈜가 제안한 사업재구조화 방안에 대해 법적, 공익적, 재정적 등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 수용할 수 없다며 뒤 연간 50억 원 정도의 운영비를 보조해주겠다고 밝혔다. 시는 이후 “의정부 경전철㈜가 아무런 답변이 없어 더는 협상이 진전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시는 이어 “현재의 운임수입에 운영비로 50억 원 정도를 지원하면 운영은 가능한데 문제는 채무 원리금 상환으로 SPC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자본을 투자해놓고 어렵다고 손을 들거나 의정부 경전철㈜가 요구한 해지 시 지급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손을 뗀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 아니냐?”라고 반문했다. 

이런 가운데, 시는 내년 예산을 초긴축으로 편성한 데 이어 경전철 파산에 대비해 322억 원을 편성했다. 해지 시 일시적으로 지급해야 할 금액 2천260억 원을 지방채로 발행 때 원금·이자를 포함해 8년간 상환을 계상한 금액이다.

 

반면, 의정부 경전철㈜SPC는 9월 29일 협상서 시가 제시한 50억 원 운영비보조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거부의사를 밝혔다는 입장이다. 의정부 경전철㈜는 시가 보조해주는 운영비로는 자금 재조달방식인 리파이낸싱(기존 대출 이자율이 높아서 이자율이 낮은 새로운 대출을 일으키는 것)이 안되므로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의정부 경전철㈜ 관계자는 “사업 재구조화 방안을 받아들이지 않은 데 이어 수용할 수 없는 운영비보조를 제시하고 협상 문을 닫는 것은 파산할 테면 하라는 것 아니냐, 파산에 대비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의정부 경전철㈜는 연말 안으로 국토부, 기획재정부, 경기도, 지역 국회의원, 시의회 등에 사업재구조화에 따른 그동안 협상내용과 파산의 불가피성 등을 설명하고 이 절차가 끝나면 파산신청에 들어갈 계획이다.

 

앞서, 의정부 경전철㈜는 지난해 11월, 2015년 말 기준으로 시가 해지 시 지급해야 할 3천687억 원(원리금 포함)의 90%를 25년간 매년 145억 원씩 지급해주는 것을 골자로 사업재구조화 방안을 제시했었다. 의정부 경전철㈜와 시는 사업재구조화를 놓고 지난 8월부터 9월29일까지 모두 6차례 협상을 벌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