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퇴진 전제 추천 수용 불가”
더민주 “탄핵 추진 논의 선행”
국민의당 “先 총리-後 탄핵을”
야권이 거국내각 총리 후보 인선을 놓고 고심에 빠졌다.
청와대가 21일 국회 추천총리 문제와 관련해서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전제로 총리를 추천하면 받아들일 수 없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국회의 탄핵소추로 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이 되는 상황을 염두에 둔 포석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야권은 청와대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진의 파악에 나서면서도 ‘또 뒤집기냐’며 강하게 반발했다.
그러나 총리 인선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야권 간에도 미묘하게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속내는 복잡하다. 무엇보다 핵심 지지층이 가장 큰 문제다. 문재인 전 대표와 당 지도부 모두 이미 ‘탄핵’을 당론으로 정한 상황에서, 자칫 한발 물러나 박 대통령과 ‘정치적 타협’을 시도했다는 비난에 직면할 수 있다.
여기에 이미 총리 추천 제안을 거부당한 박 대통령이 입장을 번복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야당이 일방적으로 말을 바꾼 모양새인 만큼, 이번엔 박 대통령이 반격했기 때문이다.
추미애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지금 나라가 무너지고 있는데 야당 시비할 정신이 있는가. ‘야당이 일관성이 없다고 시비할 자격이 있는가”라며 “야당이 언제 일관성이 없었냐. 본인들이 오락가락하면서”라고 쏘아붙였다.
우상호 원내대표도 “대통령이 총리를 안 받는다는데 뭘 물어보느냐”고 반문했다.
윤관석 수석대변인(인천 남동을)도 기자들과 만나 “청와대가 추천 안 받겠다는 것 아니냐. 총리 추천 문제는 탄핵 관련 논의를 선행하며 논의할 문제로, 앞서갈 부분은 아니다”라며 “청와대가 검찰수사 등에 대해 손바닥 뒤집듯 하며 발로 걷어찬 상황에서 이 부분에 대해서도 애매모호하게 말한 부분의 진의를 파악해야 한다. 탄핵 논의 등과 동시에 진행하기엔 상황이 좀 맞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기자간담회 등을 통해 “탄핵을 위해서도 선-총리가 돼야 한다. 안되면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인데 이는 박근혜 정권의 연속”이라며 추 대표의 ‘선 퇴진ㆍ탄핵, 후-거국내각 논의 발언’에 대해 “순서가 좀 바뀌었다”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표는 국회 추천의 주체에 대해 “여당도 같이 해야 한다. 같이 안 하면 구실을 주는 것”이라며 “대통령과 여야 3당 대표의 4자 회동에서 논의해서 총리를 합의하면 대통령이 거부할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청와대의 강경 대응에 대해선 “우리가 덫에 걸렸다”고 말했다.
이처럼 후임 총리 문제가 확실히 정리되지 않을 경우 자칫 ’황교안 권한대행체제‘로 탄핵정국을 맞을 수 있는 점이 야권으로서는 진퇴양난 (進退兩難)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