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둔치, 생태계 보존+친수공간 제한적 개발”

김포시 활용방안 용역 중간보고회
수변문화+에코힐링+스포츠레저
3개 테마 조화롭게 발전 방안 제시

김포 한강하구 철책제거에 앞서 우선 개방되는 한강하구 둔치 활용방안에 대한 윤곽이 나왔다.

 

김포시는 유영록 시장을 비롯한 관계 공무원과 주민 대표, 용역사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한강둔치활용 기본구상 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김포 한강둔치 공간의 체계적 발전방향과 전략적 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기본구상 초안을 마련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한강하구 둔치의 활용방안은 지난 해 국회 국방위 홍철호 국회의원(새ㆍ김포을)이 지난 해 국회 국방위원회 ‘한강하구 철책제거 방안 검토 소위원회’에서 철책 제거에 앞서 우선 개방하자는 요구를 국방부와 군이 받아들이면서 추진됐다. 

시는 앞서 지난 8월 2억 원을 들여 운양동 용화사 앞부터 서울시계인 고촌읍 전호리간 13㎞의 한강철책개방 구간에 대한 활용방안을 마련하는 ‘한강둔치활용 기본구상 용역’ 을 착수, 기본방향을 세웠다.

 

용역사는 이날 중간보고회를 통해 개방되는 김포 한강하구 둔치를 ‘감성수변문화지구’ㆍ‘에코힐링지구’ㆍ‘스포츠·레저지구’ 등 3개 테마로 나눠 주변환경과 조화롭게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시는 용역사가 제시한 기본구상 초안에 대해 체육, 도로, 공원, 환경 등 각 분야별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한강둔치의 활용방안에 대한 기본구상을 마련했다.

 

참석자들은 한강하구의 철책은 각종 도시개발로 개방돼야 하지만 수십년간 민간인 출입 통제구역으로 자연생태 환경이 뛰어나 생태계 보존과 제한적인 근린 친수공간 활용을 병행해 추진돼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유 시장은 이날 “김포만의 특성과 역동성을 담아 낼 수 있는 한강으로, 참여위원들의 발전적인 의견을 수렴해 보존과 친수공간의 조화롭고 시민이 공감하는 둔치활용이 될 수 있는 계획을 세워달라”고 당부했다.

 

군은 이에 따라 시가 요청하는 장소와 개수 등을 우선 검토, 출입문을 설치하고 개방시간을 일출과 일몰시간을 기본으로 동·하계 및 기상조건에 따라 군이 김포시와 협의해 운영키로 했다. 

홍 의원은 앞서, 지난 해 12월 기자회견을 열어 “소위원회는 합참으로부터 개방방안에 관한 보고를 받고, 이를 토대로 우선 한강하구 지역을 주민에게 개방하기로 하되 철책제거 또한 계속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며 “이는 철책제거에 앞서 시민에게 먼저 한강하구 수변지역을 주민에게 개방, 친수공간으로 조성한 뒤 자연스럽게 철책이 철거되는 창조국방의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전상권 안전총괄과장은 “내년 용역이 완료되는 대로 용역 결과에 따른 시설물 설치를 현재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이 추진 중인 한강개발기본계획변경안에 반영토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