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안전수칙 인지 부족해
질본, 인체 감염 가능성에 ‘긴장’
안성서 이동제한 위반 농장 적발
1일 경기도와 방역당국 등에 따르면 도내에서 이날 현재 각각 3회 발병으로 최다 발생지역인 양주와 이천 등 AI 발생 지역 해당 농가에서는 사육중인 닭과 오리 등에 대한 살처분 작업이 연일 진행되고 있다. 각 지자체 별로 피해농장 규모에 따라 적게는 20명에서 많게는 60여 명의 인력이 투입되고 있는 가운데 이 중 일부 인원이 외국인 근로자들로 파악되고 있다.
농장 3곳에서 AI가 발생한 양주시의 경우, 살처분 작업에 투입된 80명 가운데 40명이 외국인 근로자로 나타난 가운데 이들은 주로 아프가니스탄과 우즈베키스탄 국적 근로자이고 이천도 61명의 인력 중 35명이 카자흐스탄, 러시아, 베트남 국적의 외국인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화성과 포천 평택에서도 각각 10여 명의 외국인이 살처분 작업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AI 발생 현장에 외국인 근로자들이 다수 투입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방역당국이 안전수칙 준수 및 위생 문제 등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당부하고 나섰다.
이날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전국 지자체에 AI 바이러스 인체감염 예방과 살처분 작업에 동원된 인력의 사후 모니터링을 강화할 것을 긴급 주문했다. 특히 외국 근로자들의 경우 의사소통이 힘들고, 안전수칙, 위생관념ㆍ보호복 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어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들이 모든 현장에 배치돼 지도점검을 하고 있는 상태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국내에서 AI 바이러스 인체감염 의심 증상이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긴장을 늦출 수 없다”며 “중국 사례를 보면 인체감염 가능성이 100% 없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인체 감염 시 파장을 생각하면 더 긴장하고 예방활동을 강화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날 현재, 경기도는 AI 확산차단을 위해 도내 가금류 사육농가 2천797곳에 대한 방역시스템을 한단계 강화했다. 닭과 오리 등 가금류 농장에 대한 예찰과 17만5천 건의 AI 간이검사를 진행하는 한편 산란계 농가 314곳을 비롯해 종계·토종닭 등 닭 사육농가 2천639곳에 대해 AI 모니터링 검사로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있다. 오리농장 158곳에 대해서도 20∼25일령이 되면 폐사체 검사를, 출하 1주일 전인 38일령을 전후로 추가 바이러스 검사를 각각 실시해 이상이 없어야 도축장에 출하하도록 조치했다.
또 양주시는 예비비 10억 원을 긴급 투입, 24시간 방역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있으며 포천시는 유해 야생동물 포획허가를 중단시키는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편, AI차단 예방책으로 발병 농장에 대해 이동제한 조치가 내려진 가운데 이를 어긴 안성지역 가금류 농장이 도내에서는 처음으로 적발됐다. 시는 이 농장에서 발생한 배설물이 지난 30일 오전 밖으로 반출된 사실을 확인하고 조치를 논의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