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자전거도시를 만드는 쉬운 방법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에서 얼마전 도시 발달사 측면에서 기념비적인 일이 벌어졌다. 인구 60만의 대도시에서 처음으로 자전거가 자동차대수를 추월했다.

 

코펜하겐은 지난 2009년부터 시청앞 광장 등에 자전거 등록대수를 보여주는 전광판을 세우고 공기주입시설 등 자전거 인프라와 편의시설을 본격적으로 설치하기 시작했다.

 

세계는 지금 보행 친화 및 자전거도시를 비전으로 선포하고 도시를 리모델링하는 야심찬 정책이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자전거 천국 네덜란드는 전국의 자전거 교통분담률이 40%를 향해 치닫고 있고 독일은 오는 2030년 이후부터는 아예 화석연료를 태우는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금지 결정하고 선포했다.

 

프랑크푸르트 등 20여 개 도시에서는 도심내 자동차 진입을 전면 금지하는 한편 자전거와 전동 휠 등 이른바 1인용 탈것을 위한 인프라를 확충하고 주요 에너지 소비시설을 태양광, 풍력,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적인 트렌드와는 달리 우리는 아직도 변죽만 울리고 있다. 경기도 7개 시·군이 운영중인 자전거 공유시스템 대부분은 정책 목표와 효용이 무엇인지 도무지 불분명하다. 이 시스템은 공용자전거와 스테이션 등 설치에만 수백억이 투자됐고 매년 유지관리비만 수십억씩 들어가고 있지만 정작 자전거 교통분담률이 상승했다는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

 

안산시는 한 대에 55만 원짜리 공용자전거 시스템에 100억 원을 쏟아붓고 매년 2

제목 없음-1 사본.JPG
0억 원의 유지관리비를 대고 있으면서도 자전거 교통분담률은 5%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실체적 목표가 없는 정책은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 이제 비싼 공공자전거는 그만 사들이고 오히려 집에서 녹슬고 있는 자전거를 출퇴근, 쇼핑 등 일상생활용으로 사용하도록 거리로 쏟아져 나오게 유인해야 한다.

 

자동차 1대 주차면에는 자전거 10대, 2층이면 20대가 들어간다. 시·군마다 자건거 교통분담률 목표를 세우자. 전철역 등 공영주차장의 1/5만 편리하고 도난우려가 없는 자전거 주차장으로 전환하자. 그리고 도로다이어트로 안전하고 쾌적한 자전거 도로만 확보해 보자.

 

두바퀴 자전거가 스스로 굴러가듯이 나머지는 시민들에 의해 자동으로 해결된다.

 

양근서 경기도 연정위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