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주 중 식문화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우리의 삶 속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요즘은 텔레비전을 보면 먹방, 쿡방 등 편성프로그램을 보면 우리의 삶의 대부분을 먹는 것이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먹는 즐거움을 무시 못하고 집밥에 대한 요구가 큰 시점에서 집밥 만큼은 아니지만 매식을 하는 직장 근로자의 경우 하루 중 점심시간의 즐거움이 클 텐데 그들의 밥심이 걱정되는 부분이 있어 몇 자 적어본다.
인천의 지방지에 실린 보도자료에 보면 인천지역의 산업단지 근로자들의 건강에 비상이 걸렸다는 내용으로 산업단지 내 급식소들이 관할 규청에 허가를 받지 않고 영업을 하거나 유통기한이 표기되지 않은 불량 식자재를 이용해 음식을 만들고, 무허가 급식소가 늘어나고 있어 법 테두리 안에서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면서 제언을 해본다.
국가적으로 청년 창업을 장려하기 위해서 푸드트럭을 합법화하였다. 그러나 푸드트럭 창업자들은 법적요건은 모두 갖추어 있지만 영업장소가 공원이나 지자체가 정한 곳으로 되어있다. 주말이나 되어야 왕래하는 사람들이 많아 장소에 대한 실효성이 떨어진다.
상생을 위해 여러 가지의 고민과 검토는 필요하겠지만 산업단지 근로자들과 청년창업자들을 위해 부딪히는 부분도 많겠지만 의미 있는 일을 만드는 일이라 생각한다.
인천이 300만 시대에 고민해야 하는 것은 민생이다. 인천의 시민들이 법의 잣대로 단속되거나 처벌을 받기 전에 왜 그런 일들이 일어나야만 하는지 법으로 처벌하기 전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있는지 고민하는 인천이길 바라본다.
연말을 보내는 산업단지의 근로자들이 따뜻한 밥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2017년을 기대해본다.
전경희 인천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