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수무책 AI, 비좁은 사육공간이 원인” 윤순영 야생조류보호협 이사장 주장

고병원성은 비자연적 환경서 발생
야생조류 탓 말고 근본적 대책 필요

국내에서 사육되는 닭과 오리 등 가금류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속수무책으로 무너지는 원인이 잘못된 국내 농가의 사육방식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저병원성 바이러스가 밀식 사육장에서 고병원성으로 변질, 피해를 급속도로 불러왔다는 논리다. 지금까지 정부나 학계에서는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중국 등지에서 철새로부터 유입됐고 사육형태가 밀식으로 이뤄져 확산을 불어왔다고 밝혔다.

22일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는 야생조류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LPAI)와 달리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는 좁은 공간의 비자연친화적 환경에서 자라는 가금류에 나타나는 질병이라고 지적했다. 

원인을 철새가 아닌 사육형태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은 “밀식 사육되는 닭과 오리는 면역력이 약해져 변종 바이러스 출현 가능성이 클 수 있고, 이를 막기 위한 항생제 과다투여도 결국 문제가 된다”면서 “자연 친환경적 사육조건을 갖출 수 있는 가금류 사육장 면적에 대한 법적 기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AI 발생원인을 야생조류의 탓으로만 돌리는 것은 옳지 않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윤 이사장은 “겨울 철새는 10월 초 우리나라를 찾아와 중간기착지에 머물다가 11월 말이면 월동장소로 이동, 그 후에는 정착해 이곳저곳을 이동하지 않는다”면서 “해마다 거듭하는 질병의 책임을 야생동물이나 자연에 돌리는 것은 잘못된 대처 방안으로, 정부는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맞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철새가 다른 지역으로 AI 바이러스를 확산시키는 것에 대해 “AI가 발생할 때마다 철새먹이주기 등 일회성 행사를 금지하는 것은 근본적인 예방법이 될 수 없다”면서 “오히려 한 곳에서 먹이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철새의 이동경로를 파악, 관리하는 것이 현실적이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