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탈당 도의원 최대 15~20명… 흔들리는 ‘경기연정’

이동화 등 4명 탈당계 제출… 제3교섭단체 구성 유력
연정 주체 재설정·상임위원장 배분 문제 등 혼란 불가피

새누리당 국회의원들의 집단 탈당에 따라 경기도의회 새누리당 의원들도 줄줄이 탈당에 나서면서 내부 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추가 탈당 의원까지 포함하면 최대 15~20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제3 교섭단체’ 구성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의회 내 3개 교섭단체가 꾸려질 경우 연정 주체의 재설정을 비롯, 상임위원원장ㆍ연정위원장ㆍ부의장 재배분 등의 문제가 속속 불거질 전망이다.

 

27일 경기도의회와 새누리당 경기도당 등에 따르면 도의회 전체 새누리당 의원 52명 가운데 이날 현재까지 도당 및 지역당원협의회 등에 탈당계를 제출한 의원은 이동화(평택4)ㆍ김승남(양평1)ㆍ김규창(여주2)ㆍ천동현(안성1) 등 4명이다. 이외에도 최춘식(포천1)ㆍ염동식(평택3)ㆍ원욱희(여주1) 의원 등이 이른 시일내 추가로 탈당계를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다음달 24일 개혁보수신당 창당 시기에 맞춰 일부 의원들이 추가로 탈당할 경우 전체 새누리당 탈당 도의원은 15∼20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들이 탈당하면 도의회 교섭단체 구성 요건(12명)을 갖추게 돼 도의회는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새누리당, 개혁보수신당 등 4당 체제가 된다.

 

더욱이 남경필 경기지사가 신당에 참여하기로 하면서 도의회 개혁보수신당은 도내 여당이 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지난 9월8일 남 지사-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 3자가 서명한 2기 연정협약서 참여 주체에 개혁보수신당을 포함, 4자로 변경해야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또 연정협약에 따라 선임된 4명의 연정위원장(도의원) 중 새누리당 몫인 2명을 새누리당과 개혁보수신당으로 배분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더욱이 연정위원장인 김승남 의원이 탈당계를 내면서 공석이 될 수 있다.

 

또 현재 민주당 몫인 ‘연정부지사’에 대해 도내에서 ‘야당’이 된 새누리당의 지분 요구도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일각에서는 3개 교섭단체 의원 수에 따른 새로운 원구성 요구 가능성도 제기된다. 현재 도의회는 의석수에 따라 다수당인 민주당이 의장과 부의장 1석, 상임위원장 7석을 가지고 새누리당이 부의장 1석과 상임위원장 4석을 가지고 있는 구조다. 여기에 개혁보수신당이 교섭단체가 되면 부의장 1석이나 상임위원장 1석을 요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도의회 관계자는 “당장은 아니나 조만간 도의회 4당 체제에 맞춰 연정협약서 수정 문제, 연정위원장 선임 문제 등이 논의될 것으로 본다”며 “제3 교섭단체가 구성될 경우에도 상임위원장 등에 대한 재분배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의회 새누리당은 이날 자당 국회의원들의 집단 탈당 속에서도 연합정치(연정)는 지속한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최호(평택1) 대표의원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도민을 위한 상생과 협력의 민생연합정치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도의회 새누리당은 당내에 퍼져 있는 연정 지속 여부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끊임없는 대화와 토론을 통해 하나로 모아 남경필 지사의 탈당과 무관하게 제2기 연정을 지속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박준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