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경제] 2017년을 과학기술원년으로

▲
2017년을 과학기술원년으로 삼았으면 한다. 과학기술 발전을 통해 산업과 경제를 일으킬 기반을 구성했으면 한다. 4차 산업사회를 선도하기 위해서 더욱 과학기술에 기반을 둔 정책과 사회구조 개선사업을 추진해야 할 때다. 우리 사회는 수많은 1차 및 2차 그리고 3차 산업사회를 거치지 못한 일반 시민들로 구성돼 있다. 이들의 교육 역시 남다르게 필요한 현실이다. 

젊은 세대들은 감수성이 빠르고 날마다 생활 속에서 여러 친구와 지내면서 3차 산업시대에 빨리 적응하였으나 중장년 세대들은 그러한 기회를 얻지 못해 모바일 시대에 무능한 인적자원으로 분류돼 국가발전과 국가 설계에서 제외돼 있다. 

국가는 이들을 위해 좀 더 적극적인 정책을 써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중장년층을 위한 모바일 교육을 대대로 시킨다든가 그 외의 현대과학기술에 대해 대중교육을 하는 등 과학기술교육에 국가와 지자체가 발 벗고 나서는 일이 생기기를 간절히 바라는 바다.

 

과학기술원년에 또 하나의 과제는 우리의 고등교육, 즉 대학교육의 선진화다. 대학은 한 국가의 ‘브레인 단체’다. 이들의 진화 없이는 치열한 국제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 중국에서는 100개 대학(우리로 치면 5개)을 선별해 세계적인 대학으로 발전시키는 데 국가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우리도 대학들의 선진화에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할 것이다. 또 대학들은 연구중심과 교육중심대학으로 분류해 지원과 육성을 같이 함으로써 조화롭게 발전해야 할 것이다. 특히 연구중심 대학들은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런 면에서 현 국가정책의 대변환이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는 대학을 마치 한 개의 장식품인양 생각한다. 대학은 우리의 희망이며 꽃인데도 말이다. 우리 대학들은 세계에서 앞서가는 연구를 선도해야 한다. 인재의 양성을 통해 산업체에 공급해 연구결과를 산업화해야 한다. 

연구결과의 산업화는 연구가 세계 최고여야 한다는 전제조건을 갖게 된다. 이를 얻기 위해서는 대학은 물론 국가정책의 올바른 지원이 필수적이다. 좋은 연구인재를 모으고 세계정상의 과학자를 영입하고 또 이들이 세계 정상의 연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 대학들의 뼈를 깎는 개혁과 변화가 필요하며 이는 정직한 국제경쟁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

 

과학기술은 국민의 자긍심을 심어준다. 중국을 예로 들어보자. 많은 국민이 국가과학정책의 결과에 같이 호응하고 있다. 몇 년 사이 우주 대탐험의 성공, 스텔스기의 개발, 항공모함의 건조 등 국가의 자긍심을 높여주는 일들이 국민의 환희와 호응을 받고 있다. 다시 말하면 중국도 이제는 선진국과 동등한 또는 앞서가는 과학기술 보유국이라는 자긍심을 심어주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뭘 하고 있는가. 헬리콥터 하나 만들지 못하고 있다. 

이런 현실 속에서 어떻게 국민의 자긍심과 사기를 높일 수 있겠는가. 수십만 명의 젊은 이공계 대학졸업생들이 놀고 있는데 수십조 원의 F-35를 수입한다는 나라는 우리밖에 없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꼭 돈만이 문제가 아니다. 우리 정치계와 정부 후진성을 말하고 싶다. 

우리나라 경제의 100분의 1도 안 되는 북한이 로켓 연구개발을 성공적으로 해낸 것이 좋은 예다. 우리 정부도 이제는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과학기술정책을 펼칠 때가 됐다.

 

2017년은 중요한 때다. 정치적인 혼란과 이에 따른 경제의 파탄을 가져온 현대 한국사회가 처음 맞는 위태롭고 우울한 해다. 어떻게 이를 극복하느냐가 중요하다. 이런 가운데 과학기술을 통한 새로운 국가의 발전을 기대하는 것은 우리의 사치스러운 선택이 아니며 꼭 해야 할 과제이다. 

또 우리의 소원이기도 하다. 우리도 2017년에는 세계가 부러워하는 과학기술 발전에 총력을 쏟아부었으면 한다. 또 미래의 노벨상을 타기 위한 연구의 기틀을 만드는데 다시 한 번 국가의 힘을 모으는 한 해가 되길 바란다.

 

조장희 차세대융기원 특임연구위원·캘리포니아대학 명예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