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가 행정자치부 지침에 따라 책임동제가 시행 1년여 만에 오는 3월 폐지되고 대신 ’권역형 복지허브화’란 유사한 직제의 4개 권역 행정복지센터가 전면 시행되는 가운데, 일선 동 행정체제 명칭이 자주 바뀌는데다 본청과 동간 업무가 다시 조정돼 이관될 예정이어서 당분간 혼란과 시민 불편이 예상된다.
12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호원권(호원1~2동), 송산권(송산1~2동) 등 2개 권역에서 시범으로 시행 중인 책임동제를 지난해 하반기부터 전면 시행하려고 했으나 지난해 5월 행자부의 복지 허브와 정책에 밀려 중단됐다.
시가 지속적으로 책임동제 전면 시행을 요구하자 행자부는 지난해 12월 13일 권역형 복지허브화 모델로 서기관 2명과 사무관 2명 등의 직제를 승인했다. 이에 따라 종전 책임동제는 폐지되고 오는 3월 말부터 권역형 복지허브화 모델인 행정복지센터가 시행된다.
복지허브화 모델은 시의 14개 동을 호원(의정부2동, 호원1~2동), 송산 (송산1~2동, 자금동) 신곡 장암(장암동, 신곡1~2동) 가능 녹양(의정1ㆍ3동, 가능1동, 흥선동, 녹양동) 권 등 4개 권역으로 나눈다.
4개 권역에는 호원2동, 송산2동, 신곡1동, 흥선동 등 4개 중심동(종전 책임동)에 행정복지센터를 두고 하부에 주민센터와 자치 민원, 복지지원, 허가안전과 등 3개 과와 과별 3개 팀 등 모두 9개 팀이 권역 내 다른 동의 관련 업무를 총괄한다. 종전 책임동 호원권에 의정부2동, 송산권에 자금동 등이 포함되고 자치민원과에 일자리 경제팀이 신설됐을 뿐 책임동제와 유사하다.
또한 위임업무가 종전 책임동은 116종이었으나 복지허브화모델 행정복지센터는 171종으로 확대된다. 그러나 책임동에 위임됐던 그린벨트 단속과 일반지역 불법 건축물 단속, 보안등 관리 등 광역이나 전문성이 요구되는 업무는 다시 본청으로 이관된다. 시는 다음 달까지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등의 개정을 거치고 유사 기능 조직 통폐합과 개편 등을 마친 뒤 오는 3월 말 6급 이하 70여 명을 행정복지센터에 배치할 계획이다.
주민 김모씨(64ㆍ의정부시 신곡2동)는 “올해 전면 시행한다던 책임동이 전면 폐지되고 복지 허브화모델 행정복지센터로 다시 시작한다니 헷갈린다. 이름도 어렵고 체계가 너무 복잡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본청 업무와 인력 등은 총괄과 정책기능만 남기고 행정복지센터와 일선동으로 기능별로 재배치한다. 정착이 되면 시민들은 복지, 고용, 안전 서비스 등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의정부=김동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