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총 주행거리 연평균 5.7%향상… 평균속도 86㎞/h

▲ 고속도로를 이용한 모든 차량과 이동거리를 고려한 지표
▲ 고속도로를 이용한 모든 차량과 이동거리를 고려한 지표

전국 주요 고속도로를 이용한 모든 차량의 이동거리인 ‘고속도로 총 주행거리’가 연 평균 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행속도 역시 꾸준히 향상돼 지난 2015년 평균 통행속도는 86㎞로 집계됐다.

 

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 교통개선 방향 설정을 위해 총 주행거리와 주요 도시 간 통행시간, 이동성ㆍ정시성 등 교통운영에 관한 지표를 산출했다고 19일 밝혔다.

 

그러나 고속도로 이용 차량대수와 주행거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주요 도시 간 통행시간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총 주행거리’는 2015년 746억6천만대-㎞로 2011년 599억1천800만대-㎞에 비해 24.6%(연 평균 5.7%) 늘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서울~부산 간 통행시간이 5시간 13분에서 4시간 51분으로 22분, 서울~광주간은 3시간 58분에서 3시간 40분으로 18분 줄어드는 등 주요 도시 간 소요시간은 줄었다. 고속도로 총 주행거리는 고속도로를 이용한 모든 차량의 이동거리를 합산한 것으로 단위는 ‘대-㎞’를 사용한다.

 

전체 고속도로 이용자의 총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여객지표’와 고속도로를 이용한 모든 화물물동량의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물류지표’도 증가했다. 2015년 여객지표와 물류지표는 전년보다 각각 7.1%, 7.4%가 증가했다.

고속도로의 통행속도 역시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 다만, 정시성의 경우 수도권과 충청권, 강원권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고속도로를 이용한 모든 차량의 평균 주행속도는 지난 2013년 시간당 83.32㎞ 2015년 86㎞로 3.2% 높아졌으며 고속도로 이용차량 중 시간당 평균 80㎞로 주행한 차량의 비율도 2014년 67.7%에서 2015년 69.8%로 증가했다.

특히 수도권 고속도로는 전체 차량 중 통행시간이 오래 걸린 상위 5%의 경우 평균 통행시간의 1.84배가 소요된 것으로 나타나 정시성이 가장 좋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국토면적당 고속도로 연장은 OECD 33개국 중 5위, 국토계수당 고속도로 연장은 14위, 국토자동차계수당 고속도로 연장은 12위로 조사됐다.

 

하남=강영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