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강화·정월대보름행사 재검토… 道재난본부, 긴급대책 발표

경기지역으로 구제역이 확산하면서 경기도 방역 당국이 백신 일제 접종 등 긴급 방역에 나섰다.

 

경기도 AI·구제역 재난안전대책본부는 8일 남경필 경기지사 주재로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구제역 긴급 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도는 이날부터 오는 12일까지 도내 1만4천925개 농가에서 사육되는 우제류(발굽이 2개인 소·돼지·염소 등 가축)에 대해 백신 일제 접종을 실시한다. 도내 사육 중인 소 42만 3천 마리가 대상이며, 시ㆍ군 담당 공무원 및 민간 수의사가 직접 방문해 접종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도는 소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만큼 일단 소부터 방역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일단 돼지 198만 7천892마리, 염소 1만 4천214마리 등에 대해서는 각 사육농가에 보강 접종을 하도록 지시했다.

 

또 도는 일제접종 직후 항체 형성 여부도 재검사한다는 계획이다. 도의 검사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소와 돼지의 평균 구제역 항체 형성률은 소 94.6%, 돼지 67.8%로 집계됐다. 그러나 항체 형성률은 소와 돼지 일부만을 표본 검사한 결과이며, 최근 충북과 전북 구제역 발생 농가의 구제역 실체 항체 형성률이 20%와 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도는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해 가평과 오산, 시흥시 등 각 시ㆍ군에 현재 계획 중인 정월대보름 행사 개최를 재검토 할 것을 당부했다. 또 평창동계올림픽 준비를 위해 오는 9일 강원도 강릉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2월 경기도 시군부단체장회의’ 참석대상을 당초 부단체장에서 체육담당부서장으로 축소했다.

 

도 관계자는 “도내 사육 소와 돼지에 대한 백신 보강 접종을 서둘러 마무리할 것이다. 항체가 형성되기까지 앞으로 2주가 최대 고비”라며 “2010∼2011년 같은 구제역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모든 행정력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는 이날 오전 연천군 군남면의 한 젖소농장에서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된 즉시 해당 농가에서 사육되는 소 114두를 살처분하는 한편 가축과 차량, 외부인을 대상으로 이동통제를 실시했다. 또 농장입구에 이동통제 초소 설치, 축사주변 도로 소독 등을 실시하고 인근 3㎞이내 12개 우제류 농가 300두에 대한 이동제한과 긴급예방접종 조치를 내렸다.

한진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