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와요 ‘엄마의 품’으로
파주에는 6ㆍ25전쟁 직후부터 한미방위조약에 따라 미군들이 주둔하면서 미군기지 11곳이 50여 년 동안 운영되다 지난 2007년 우리 정부에 반환됐다. 이 과정에서 미군기지촌이 형성됐고, 속칭 ‘기지촌 여성’들도 생겼으며 혼혈인들도 태어났다.
정부는 기지촌 여성들을 격리 운영하면서 사회와의 소통을 단절시켰다. 이런 가운데 기지촌 여성들은 사립학교 설립 등 지역교육을 주도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국가의 격리시설 운영이 소송에서 일부 패소했다. 이들의 자녀는 미국으로 건너가 사회지도층 인사로 미국사회에서 어엿한 시민으로 성장했다.
기지촌 여성 보상조례도 도의회서 계류 중이다. 반세기 이상 어둠 속에 가려졌던 기지촌이 이제는 세상 밖으로 나와 소통을 기다리고 있다. 본보는 4회에 걸쳐 지난 60여 년 동안 기지촌 여성과 혼혈인들의 궤적을 짚어보고 대안을 제시한다. 편집자 주
6ㆍ25전쟁 당시 미군 참전용사 딸로 태어나 미국으로 건너가 성공한 아메라시언으로 불리는 주디 드리이퍼(한국명 평화) 미국 미주리주(州 )세인트루이스 판사(61)는 지난 2015년 12월 2일 이재홍 파주시장을 만났다. 대한민국 시카고 명예영사이기도 한 그녀는 외교부의 세계명예영사 초청행사로 한국을 방문했다가 파주시청을 찾은 것이다.
주디 판사가 남편인 미주리주 대법관과 함께 이날 이 시장을 면담한 건 세계 입양인단체 중 한 곳인 미앤코리아(Me&Korea. inc)와 파주시가 세계 미군 주둔지 가운데 최초로 기지촌 여성과 사이에 낳은 혼혈인들에게 모국을 찾게 해주는 프로젝트인 ‘엄마의 품(Mother’s Arms)’ 추진을 격려하기 위해서였다.
지난 1959년 미8군 무용수 출신 어머니 여이순씨(79)와 미국으로 건너갔던 그녀는 이 시장에게 “6ㆍ25전쟁 혼혈 입양인에 대한 파주시의 관심에 감사하다”며 “시가 추진 중인 엄마의 품 조성사업에 미국 혼혈 입양인들이 반기고 있다”며 함께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시장은 “파주는 휴머니즘을 실천하는 평화도시다. 엄마의 품 본격 추진 시 주디 판사 등의 의견을 폭넓게 받겠다”고 약속했다.
파주시가 전 세계 미군 주둔지 중 처음으로 6ㆍ25전쟁과 이후 미국 등 해외로 입양된 혼혈인들을 위한 ‘엄마의 품’ 조성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중년을 훌쩍 넘긴 혼혈인들과 대한민국 사회를 자연스럽게 연결하겠다는 신선한 의미로 받아들여져 주목받고 있다.
12일 파주시에 따르면 ‘엄마의 품’은 조리읍 봉일천리 일원 반환 미군 공여지인 ‘캠프 하우즈’에 조성된다. 총 61만 808㎡인 ‘캠프 하우즈’에 1천㎡ 규모로 조성된다. 총 8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상반기 착공, 내년 상반기 완공할 계획이다.
파주시는 현재 ‘엄마의 품’에 미국 등 해외로 입양된 혼혈인들의 높은 관심에 따라 내용물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지난해 8월 실시설계용역이 발주되고 다음 달 중으로 관련 용역이 발주될 예정인 ‘엄마의 품’은 콘셉트를 혼혈인(또는 입양인)들에게 자긍심을 높여 주고 한국방문 시 모국의 정을 느낄 수 있도록 꾸밀 방침이다.
우선 파주시는 미앤코리아가 시 제공 부지에 자애로운 어머니 동상 건립을 위한 추진위 구성 시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조경, 나무 심기, 조형물, 표지판 설치 등의 절차도 공원조성 뜻에 걸맞게 신중하게 접근할 예정이다.
이 같은 파주시의 ‘엄마의 품’ 조성은 지난 2015년 9월 미국 UC버클리 캠퍼스에서 열린 ‘주한미군캠프와 입양 혼혈인들에 대한 콘퍼런스’에 파주시 관계자를 참석시키면서 시작됐다. 콘퍼런스에는 혼혈인들이 모국을 방문할 때 마땅히 찾을 곳이 없다는 의견이 주류였다.
이후 시는 해외 입양인, 혼혈인 파주 팸 투어를 실시해 큰 호응을 받았고 오는 4월 40여 명의 혼혈입양인의 파주 팸 투어를 실시하면서 ‘엄마의 품’ 현장 방문도 계획하고 있다.
신규옥 파주시 문화교육국장은 “전 세계 20만 명으로 추정되는 해외입양인 등을 대상으로 글로벌 관광지로도 연계하겠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