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국립수목원 국가표준지 의류목록 서비스 개시

▲ 1)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의 첫 화면. 다양한 산림생물 정보를 한 곳에서 얻을 수 있다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의 첫 화면. 다양한 산림생물 정보를 한 곳에서 얻을 수 있다

포천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이 22일부터 국가생물종 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을 통해 ‘국가 표준지의류 목록’ 서비스를 개시한다.

지의류는 돌이나 나무 표면에 붙어 자라는 균류(菌類)와 조류(藻類)가 복합체가 돼 생활하는 생물군으로 언뜻 이끼와 닮았지만, 최소 두 가지 이상의 미생물이 뒤섞여 하나의 몸을 이룬 복합생명체이다. 국내에선 석이와 송라 등이 잘 알려졌다.

 

국립수목원은 지난 10여 년간 국내에선 미개척 분야인 지의류를 대상으로 연구해 왔다. 이 과정에서 얻은 문헌 자료와 증거 표본 등을 바탕으로 979종에 이르는 국내 지의류 목록을 작성했다. 생물다양성협약으로 생물자원에 대한 배타적 국가주권이 인정됨에 따라 ‘국가 표준지의류 목록’ 온라인 서비스는 생물종에 대한 국가 경쟁력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 표준지의류 목록’ 서비스는 국내 분포 지의류 979종의 정확한 국명, 학명, 명명자 등의 표준화된 이름이 기재돼 있다. 국립수목원은 이 외에도 지의류 증거표본 정보, 지의류 전자도감 등을 국가생물종 지식정보시스템을 통해 서비스할 예정이다.

 

이유미 원장은 “‘국가 표준지의류 목록’을 작성하고 공개하는 건 나고야 의정서(생물자원 활용에 따른 국제협약)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경쟁력의 기반이 될 것”이라며 “‘국가 표준지의류 목록’ 정보의 온라인 서비스와 대국민 개방을 통해 학계는 물론 관련 업계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