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의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인용으로 대선 사유가 확정됨에 따라 정치권은 5월 조기 대선 정국으로 급물살을 타고 있다.
대통령 궐위로 60일 이내에 대선을 치러야 하는 빠듯한 일정 속에 대선 판도를 뒤흔들 대세론, 개헌 빅텐트, 이념대결 등 각종 변수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 문재인 대세론 이어질까
박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의 대세론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것이 정치권의 시각이다.
특히 촉박한 대선 일정상 후발주자들이 문 전 대표의 지지율 차이를 극복하기는 힘겨워 보인다. 문 전 대표 측은 인수위 없이 곧바로 대통령 직무를 시작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인재를 모으며 오랜 기간 준비한 만큼 국정 안정성이 빛을 발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탄핵 이후 민심의 향배가 어느 쪽으로 기울 것인가에 따라 안희정 충남지사나 이재명 성남시장 등 후발주자들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다. 특히 촛불과 태극기로 나뉜 국론 통합의 중요성이 부각되면 확장성이 부족하다고 평가받는 문 전 대표보다는 안 지사에게 관심이 쏠릴 확률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적폐 청산의 중요성이 강조된다면 박 대통령 탄핵에 가장 앞장섰던 이 시장을 향해 진보층의 표심이 결집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 개헌 연대 이뤄지나
개헌을 고리로 한 ‘제3지대 빅텐트’도 대선 판도를 뒤흔들 최대 변수 중 하나다.
최근 김종인 전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의원직을 버리면서까지 탈당을 감행한 뒤 국민의당 손학규 전 경기지사를 비롯해 바른정당 대권주자 남경필 경기지사와 유승민 의원, 자유한국당 인명진 비대위원장 등을 차례로 만나는 등 ‘광폭 행보’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민주당을 제외한 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이 대선 전 개헌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도 주목할 만한 요소다. 이러한 움직임은 대선 전 개헌을 반대하고 있는 문 전 대표의 최대 압박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 보수층 결집
박 전 대통령의 파면과 함께 태극기 민심으로 대변되던 보수층의 분노가 보수 표심으로 역결집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의 수사가 시작되고 동정론까지 확산된다면 가능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탄핵 정국에서 목소리를 숨겼던 ‘샤이 보수층’도 보수를 이끌만한 후보를 찾아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대선주자 여론조사에서 10%대의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최근 보수층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홍준표 경남지사의 출마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특히 북 미사일 방어체계인 ‘사드 배치’등 안보 이슈는 보수층 결집의 최대 중요 요인이다. 문 전 대표가 사드 배치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만큼 보수층의 강력 반발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구윤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