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정치의 불확실성이 하나 사라진 것을 이번 판결의 의의라고 할 만하다. 이제 국내외의 관심은 대한민국의 차기 대통령으로 모아졌다. 각 정당과 예비 대통령 후보들은 이제 본격적으로 코앞으로 다가올 조기 대선으로 더욱 분주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탄핵 정국에서 표출된 극심한 국론 분열과 사회적 갈등을 잊지 말아야 한다. 약 90%에 이르는 국민 여론이 이번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수용하겠다고는 하지만, 우리 사회는 지난 몇 개월 동안 상반된 두 목소리가 타협 없이 공존하던 광장을 경험했다.
탄핵은 세대 간의 반목을 심화시켰을 뿐 아니라, 심지어 세대 내 갈등마저 유발했다. 비선실세의 국정농단를 동조 및 방치한 전직 대통령이 우리사회에 몰고 온 부정적 파급력은 이처럼 크다.
따라서 사회갈등지수가 10%만 하락해도 1인당 GDP는 7.1% 증가할 수 있다. 이번 사태를 거치며 대한민국의 갈등지수는 더욱 높아졌으리라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국론의 분열과 사회적 갈등이 경제발전의 동력마저 갉아먹어 온 것이다.
탄핵의 정국 속에 우리나라는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한 대내외적 위기와 도전에 직면했다. 그 어느 것 하나 만만치 않다. 이미 많은 예비 대선후보들은 그동안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적임자로 자처해 왔다. 다만 사회적 갈등을 조정할 책무가 차기 대통령과 새 정부에 있음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
조의행 서울신학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