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국가보훈처에서는 이와 같은 북한도발 관련 행사는 정부행사로 실시한 후, 각 군으로 이관해 추진하고 있으나 북한의 도발을 지속적으로 상기하고 국가 안위의 소중함을 다지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지난해부터 새로운 ‘서해수호 기념행사’를 추진하기로 했고, 올해로 2회째를 맞이했다.
서해도발 관련 사건을 포괄하는 의미에서 지어진 명칭인 ‘서해수호의 날’은 북한의 도발에 맞서 고귀한 생명을 바친 호국영웅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온 국민과 함께 기리고, 6ㆍ25전쟁 이후 끊임없이 지속되는 북한의 도발을 상기, ‘튼튼한 안보가 국가발전의 기본 토대’임을 범국민적으로 확산해 평화통일 기반조성에 기여하고자 제정한 날이다.
‘국가를 위한 희생은 국가가 끝까지 책임진다’는 확고한 정부의지를 확산하고,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범국민적 안보의식 결집에 그 의의가 있다.
우리 군 희생이 가장 많았던 천안함 피격일을 기준으로 ‘3월 넷째 금요일’을 기념일로 지정해 진행되는 ‘제2회 서해수호의 날’ 행사는 24일 서해수호 3개 사건 전사자 모두가 안장돼 있는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진행된다.
국가보훈처는 이외에도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교육기관 및 호국보훈단체 등과 협조해 전국 각 지역별 안보결의행사를 추진하고 해당 지역별로 6ㆍ25전쟁 이후 북한도발 희생자 유가족 및 격퇴유공자 등을 초청해 끊임없이 지속되는 북한의 도발을 상기하고, 국민 안보의식을 결집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자 한다.
최근 북한의 핵실험,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으로 한반도에는 긴장감이 팽배하다. 안보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서해수호의 날은 북한의 국지도발로 인한 희생자를 추모하고, 국가안위의 소중함을 생각하는 ‘안보의식 결집의 날’이 될 것이다. 3월24일, 제2회 서해수호의 날을 기념해 서해 호국영웅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이 헛되지 않도록 다시 한 번 나라사랑 정신을 되새기며, 감사의 마음을 가질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
김명덕 경기동부보훈지청 홍보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