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한 통의 이메일이 도착했다. 김영우 국회 국방위원장(바른정당 포천·가평)이 대북정책 등 논의를 위해 지난 20~24일 방미, 미국 정부 주요 인사들과 면담할 예정이라는 보도자료였다. 주요 내용도 북한 테러지원국 재지정, 한미동맹 공고화, 중국 사드보복의 부당함과 중국의 탈북자 강제 북송문제 등으로 국방위원장다운 행보임이 틀림없다.
그 시각, 포천 영평사격장에선 한미연합훈련인 키리졸브훈련이 진행되고 있었고, 범대위원들은 사격장 앞에 모여 ‘사격장 폐쇄’를 외치고 있었다. 한편에선 국방부차관이 어떤 선물(?)을 갖고 방문할지 일말의 희망을 품고 대응전략을 논하고 있었다.
하지만, 결과는 빈손(?)이었다. 지금까지 그랬듯, 서로 입장만 하는 확인하는 만남이었다. 주민들은 “또 속았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미군 측도 묵묵부답은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이 자리에 김영우 국방위원장이 참석했다면 어떻게 됐을까. 최소한 빈손(?)은 아니었을 것이란 예측은 가능하다.
지금 영평사격장 인근 주민들은 밤낮없는 포화 속에서 전쟁 아닌 전쟁을 경험하며 살고 있다. 벌써 60여 년째다. 3선인 김 의원도 선거 때마다 주요 공약 중 하나로 영평사격장 해결을 단골 메뉴로 제시했었다. 김 의원이 국방위원장이 됐을 때 주민들은 “영평사격장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나오겠구나”라고 기대했었다.
김 의원 나름대로 일부 진척된 부분도 있었지만, 국방부는 여전히 원론적인 답변으로 일관, 주민들의 응어리진 마음을 만져주지 못했다. 그건 그렇다 해도, 범대위가 어렵게 만든 국방부차관과의 면담시간에 김 의원의 방미는 아쉬움이 많다. 불가피한 사정이야 있었겠지만, 하필 ‘가는 날이 장날’이 됐을까?
한 범대위원은 국방부차관과 면담자리에서 “이 자리에 김 의원이 있었으면 얼마나 좋았을 것을”이라며 섭섭함을 나타냈다. 최소한 정치인이라면 주민들과 같이 아파하려는 마음쯤은 있어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매일 사격장 앞을 지키며 1인 시위를 시작한 지도 어언 530일. 이들의 1인 시위는 언제 끝날는지, 또 누가 이들의 고통을 만져 줄지, 그저 답답할 따름이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