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환경오염 대책] “미세먼지 대책에 포천 포함을...무허공장 정비·난개발 막아야”

‘4•12 재•보궐선거’의 사전투표일을 하루 앞둔 6일 더불어민주당 최호열, 자유한국당 김종천, 바른정당 정종근, 민중연합당 유병권, 무소속 박윤국 포천시장 후보가 손가락으로 자신의 기호를 만들어 보이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7일부터 이틀간 진행되는 보궐선거 사전투표는 별도의 부재 신고 없이 읍•면•동사무소에 설치된 투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다. 오승현기자
▲ ‘4·12 재·보궐선거’의 사전투표일을 하루 앞둔 6일 더불어민주당 최호열, 자유한국당 김종천, 바른정당 정종근, 민중연합당 유병권, 무소속 박윤국 포천시장 후보가 손가락으로 자신의 기호를 만들어 보이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7일부터 이틀간 진행되는 보궐선거 사전투표는 별도의 부재 신고 없이 읍·면·동사무소에 설치된 투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다. 오승현기자
포천시가 지난 2015년 기준, 미세먼지 고농도(나쁨·m³당 81μg 이상) 평균일수 조사 결과, 전국 143개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71일로 전국 2위를 차지해 ‘청정 포천’을 무색하게 했다. 

더욱이 장자 석탄화력발전소가 가동되면 초미세먼지 발생으로 대기오염이 가중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이미 2년 전에 나와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이와 관련 4ㆍ12 보궐선거에 출마한 시장 후보들이 대기환경오염으로부터 벗어날 구체적인 대책과 방안을 제시하며 유권자의 표심을 구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최호열 후보는 “지난해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대책에서 포천이 제외돼 있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라며 “국가의 정책적 지원에서 제외된 부분이 있어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중앙 정부 또는 국회에 건의할 계획안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최 후보는 또 “저감대책에서 포천이 거론되지 않은 이유는 포천 석탄화력발전소가 국가 전력수급 계획에 따른 화력발전소가 아닌 집단에너지시설이기 때문에 검토 대상이 아니라고 정부가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실소를 금할 수 없으며 “우선 문제점을 짚어보고 그 대안을 찾아보겠다”고 밝혔다.

 

자유한국당 김종천 후보는 포천시의 심각한 대기오염의 원인을 난개발 탓인 무허가, 불법 공해유발 제조공장(약 6천 개)의 난립과 특정 공단 가구업체들이 겨울철에 RDF나 MDF 등 공해 유발물질을 연료로 불법 소각한 것 등을 꼽았다. 김 후보는 “무허가공장 정비 및 합법화를 통해 불법행위 감시를 강화하겠다”면서 공해방지 시설 설치 유도 및 시 지원책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제목 없음-1 사본.JPG
바른정당 정종근 후보는 “대기, 수질, 악취오염에 대한 환경오염기준 강화를 위한 관련법령 제·개정과 함께 환경오염시설에 대한 허가를 불허하고, 현재 운영, 진행 중인 시설에 대해서는 환경전문가와 사법공무원 등으로 환경감시 TF팀을 구성, 드론감시 체계 운영 등 24시간, 365일 철저한 관리, 감독을 해 나가야 한다”며 “경기도가 가지는 허가권과 단속 권한을 시가 이양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민중연합당 유병권 후보는 “신규로 건설되는 환경오염 산업시설에 대해서는 인·허가 과정에서부터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현재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는 산업시설에 대해서는 산업단지 조성과 집단에너지 시설을 통해 주민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며 “오·폐수와 매연 등, 환경오염 위반행위에 대한 감시와 관리 감독을 민관이 힘을 합쳐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소속의 박윤국 후보는 “포천시가 대기환경오염 최고의 지표가 나온 것은 그동안 규제 없이 무허가 공장들이 난립하며, 불법 소각들이 이뤄져 나온 결과”라고 진단하며 대안으로 폐 플라스틱에 의한 소각 때 2차 오염물질 유발을 막기 위한 법적 규제 강화와 환경오염 부담금 부과 및 예치금 제도 시행, 2차 오염이 없는 소각, 열회수시설 확대, 보급 등을 제시했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