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역착수 보고회서 의견 청취
상호연계·지역 특성 반영 제시
김포시 양촌읍과 통진읍 등 농경지역과 무계획적인 공장입지 등으로 상대적으로 낙후된 북부권 5개 읍ㆍ면 개발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김포시는 최근 회의실에서 시의원, 북부지역 읍ㆍ면장, 각계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김포북부권 5개 읍ㆍ면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전문기관 용역착수 보고회를 열고 각계 의견을 청취했다.
이진민 시의회 부의장은 “인구는 적지만 김포 면적의 70~80%가 북부지역이어서 김포의 미래는 북부권에 있다. 계획관리지역, 공장 난개발 등에 관한 민원이 발전계획에 포함돼야 하고 주민들과의 대화로 이견을 줄여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황순호 시의원도 “김포는 도농복합도시로 성장통을 겪고 있다. 5개 읍ㆍ면은 각각의 역사적 배경이 다르다”며 실질적인 연구용역을 주문했고, 신명순 시의원은 “용역이 북부권에 한정돼서는 안된다. 신도시는 교육시설이 부족한 데 반해 현재 5개 읍ㆍ면은 남는다. 양촌이나 통진으로 교육이 확장되는 등 상호 연계를 생각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북부지역 읍ㆍ면장들은 주민들의 소외감과 개발요구를 전달하면서도 지역별 역사성과 동질감의 유지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심상연 양촌읍장은 “구래ㆍ마산동의 경우 담 하나로 신도시와 구도심이 갈린다. 담 하나 사이의 소외 문제를 고민해야 한다. 골목상권의 부활도 필요하고 산업단지로 교통이 좋아지면서 인천으로 가는 딜레마에 대한 유인정책도 필요하다”고 밝혔고, 두춘언 대곶면장은 “도로로 지역이 단절돼 지역의 역사와 특성을 살려야 한다. 인위적인 단절이 아닌 연결, 발전의 축이 되는 개발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창모 월곶면장은 “원주민과 새로운 주민 간 갈등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 군사규제를 피하는 개발계획을 세우고 주민 복지도 구상해달라”고 당부했고, 이용업 하성면장은 “자연경관은 좋은데 규제로 개발이 안 돼 주민들의 불만이 있다. 시대적으로 안보와 평화가 부각되고 있다. 월곶과 하성을 연결하는 접경지역 평화 엑스포 정책 건의를 마련 중이다. 접경지역을 활용한 개발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준영 서경대 교수는 “이번 북부권발전계획은 도시계획이 아니다. 물리적이지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계획을 담아야 한다. 1년 남짓 기간 꼭 필요한 것을 담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홍균 부시장은 “관광자원이 모두 북쪽에 있는 등 김포 발전 가능성이 몰려 있는 곳이 북부지역이다. 개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산업입지 기본계획과 한강하구 평화특구 용역과 연관해 검토해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용역이 우선 돼야한다”고 강조했다.
김포=양형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