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첫 장애인기본조례 제정
체계적 지원책 대표발의 주목
최근 부천시의회가 전국 최초로 지역 장애인은 물론 장애인 가족들의 복지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부천시 장애인 복지 증진을 위한 기본 조례’를 제정한 가운데, 이 조례를 대표 발의한 김관수 부천시의원(62ㆍ더불어민주당)이 주목받고 있다.
김 의원은 “그동안 지자체마다 장애인을 인구통계학적 속성에 따라 지원하는 내용을 담은 별도의 조례들은 많았지만, 80개 이상의 구체적인 조항의 종합장애인복지대책을 담은 조례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지역 장애인들 가운데서도 특히 정신ㆍ발달ㆍ언어 등 특수장애인과 가족들이 새 인생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제도와 여건 등을 마련하고자 이번 조례를 발의했다. 조례는 총 84개 조항으로 구성됐으며 장애인 복지 증진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 여성장애인의 임신ㆍ출산ㆍ양육 지원, 정신장애인 지원 및 자립, 장애인복지기금 설치ㆍ운용, 장애인복지공로자 표창 등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김 의원은 “초등학교 5학년 때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고 계모 밑에서 자라다 12살 때 서울로 올라온 이후 가구공장에서 손가락이 상실되는 등 힘겨운 시절을 겪었다”며 “그러나 그럴수록 공부를 마쳐야 한다는 집념은 더 커졌고, 돈도 벌어야 했다”고 말했다.
당시 공장에서 보상도 못 받았지만, 사회에 대한 저항보다는 야간학교에서 나머지 공부를 마치고 이후 한국방송통신대(경제학)와 단국대 석ㆍ박사(행정학) 과정을 졸업하며 홀로서기에 성공했다.
김 의원은 “장애를 긍정적인 생각을 통해 극복했고, 18살 때 울산 현대중공업에 공채로 당당히 입사했다”며 “경력이 쌓이면서 대구 파티마병원(동대구역 인근)에서 기술직 경력직원으로도 채용되기도 했다”고 회상했다.
김 의원은 “앞으로 장애인 복지증진 조례뿐만 아니라 노인, 청소년, 아동, 편부모, 다문화, 탈북자 등 이 사회에 10%의 안전망 확보를 위한 로드맵을 만들어 갈 것”이라며 “시민 편에서 시키는 일만 하는 ‘머슴’보다, 일을 찾아서 하는 ‘일꾼’으로 살다 보면 집행부와 늘 부딪힐 수 있지만, 부천시장이 임명한 사람이 아니고 시민이 뽑아준 의원이기에 잘못된 제도 개선과 함께 속칭 힘없고 배경이 없는 사람들을 위해 봉사자로서 역할에 충실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부천=최대억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