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5개 정당 대통령 후보의 입에서는 수많은 공약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인천 현안의 이슈화나 비전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얼굴을 직접 보기는 더 어렵다. 각 인천시당에서도 이미 모든 결과를 예측이라도 하고 있다는 듯이 긴장감을 찾아보기 어렵다.
일부 인천시당에서는 대선과 관련한 지역의 준비 상황 등에 대한 언론 취재조차도 시큰둥 하거나, 아예 대외 담당 관계자를 만나기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공식 대통령 선거기간이 시작되는 17일까지는 3일 남았지만 각 시당은 지역 현안 공약조차 마무리하지 못한 상태이다.
자유한국당 인천시당이 12일 가장 먼저 ‘해경 부활과 인천 환원’을 핵심으로 하는 10대 공약을 공식 발표했지만 정작 홍준표 대선 후보 캠프와는 조율 전으로 공약 반영이 불투명하다. 특히 핵심 공약인 ‘해경 부활과 인천 환원’은 대통령 후보가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으니 시당 차원에서 미리 선수를 치겠다는 수준이다.
같은 정당 내에서조차 신경전을 벌이는 형국이다.
더불어민주당의 인천 현안 대선 공약화 움직임도 더디기만 하다.
인천시당은 타 지역과 이해관계가 있는 민감한 지역 현안의 공약화는 신중을 기하거나, 일방적으로 반영하지 않겠다는 입장까지 보이고 있다.
특히 문 후보가 최근 부산에서 인천이 유치 경쟁을 벌이는 해사법원을 부산에 유치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하면서 인천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총괄선거대책본부장 송영길 의원(전 인천시장), 공보단장 윤관석의원, 문 후보와 참여정부부터 함께한 박남춘 의원 등 문 후보 캠프 내의 인천 출신 라인업에 대한 기대가 큰 만큼 상실감이나 허탈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
바른정당 인천시당도 홍일표 시당위원장을 중심으로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유승민 대선후보의 낮은 지지율과 인천 연관성 부족 등으로 좀처럼 동력을 찾지 못하고 있다. 국민의당도 ‘인천경제자유구역 활성화를 통한 4차 산업 전진 기지’ 등을 지역 현안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4차 산업 육성’이라는 안철수 후보의 전국 대표 공약에 인천 옷만 살짝 입히는 모양새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각 정당 인천시당에는 후보의 당선 가능성 순으로 정치인들이 줄을 잇고 있지만 이들 역시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자’라는 철새 정치꾼들의 행렬일 뿐이다. 이미 지역 정가에는 ‘인천에서 노력한다고 지역 공약이 모두 반영되는 것도 아니고, 당선을 결정하는 것도 아닌데…’ 라는 자포자기 조짐까지 나타나고 있다.
지역 정가의 이 같은 안일한 의식에서 대선 후보들이 인천을 바라보는 시각을 어렵지 않게 엿볼 수 있다. 이 현실이 인천의 정치적 현주소이다. 물론, 국정을 이끌어야 할 대통령이 어느 특정지역의 현안만을 해결할 수는 없는 일이고, 그래서도 안 된다. 그러나 인천이 특정 지역이기도 하지만, 대한민국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는 300만 도시이기도 하다.
특히 인천경제자유구역 활성화 방안과 같은 대한민국 미래 발전과 궤를 같이하는 현안이라면 이번 대선을 통해 반드시 조명되고, 해결돼야 한다. ‘4차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대선 후보라면 인천경제자유구역과 인천국제공항, 항공정보기술산업 등이 어우러지는 인천의 ‘4차 산업’ 전초 기지화 방안도 살펴봐야 한다.
그동안 대선 때마다 꼬리표처럼 붙어 다녔던 ‘인천 홀대론’이 이번 장미대선에서만큼은 불식되기를 기대한다.
유제홍 인천본사 정치부국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