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현 시의원 “천연잔디 시범사업도 좌초위기” 제기
부천지역 중ㆍ고교생들이 유전자 조작(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식품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천연잔디 시범사업도 좌초 위기에 놓였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8일 정재현 시의원(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경기도교육청이 지난 2014년 전국 최초로 초등학교 모든 급식에서 GMO 식품을 퇴출했지만, 지역에선 2만7천436명의 중ㆍ고교생이 GMO 식품을 학교급식으로 먹는 것으로 집계됐다.
정 의원은 “시는 Non GMO 식품 구매 지원을 권유하고 있다. 시가 지원하는 품목은 된장, 고추장, 국간장, 진간장, 식용유 등으로 이를 위해 올해 예산 3억6천192만 원을 배당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GMO 식품을 공급하는 중학교는 계남중, 성곡중, 소명여중 등 3곳에 2천36명이고 고교는 경기국제통상고, 경기예술고, 계남고, 덕산고, 범박고, 부명고, 부천고, 부천공업고, 부천북고, 부천여고, 부천정보산업고, 상동고, 상일고, 소사고, 수주고, 심원고, 원미고, 원종고, 중원고, 중흥고, 송내고, 역곡고, 상원고, 시온고, 소명여고, 경기경영고, 정명고 등 27곳으로 파악됐다.
이와 함께 정 의원은 “시가 연말까지 학교 125곳 가운데 5곳의 운동장 천연잔디 시범사업이 행정 편의주의로 좌초될 위기에 놓였다”며 “지난해 12월 7억2천만 원의 예산을 세웠는데도, 학교 측이 학부모의 의견을 묻지도 않은 채 거부하는 형태는 이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현재 학교 125곳 가운데 인조잔디를 심은 학교는 8곳, 마사토 학교는 114곳, 천연잔디 학교는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천=최대억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