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득표율따라 정계개편 가속
내년 지방선거까지 안갯속정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선 누가 당선되든 국정 운영에서 ‘가시밭길’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새 정부는 어느 당이 집권하더라도 의회 과반수(150석)를 차지하지 못하는 ‘여소야대’ 국면이 예정된 만큼 내각 구성과 정부조직 개편조차도 진통을 겪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산적해 있는 개혁과제 추진 등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서는 다른 정당과의 협치가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이번 대선도 이념과 세대 간 대결 구도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에서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각 후보의 성적표에 따라 정당 간 이합집산 등 정계개편 움직임이 시작되면서 내년 6월 지방선거까지 안갯속 정국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측은 일찌감치 ‘대세론’을 형성한 만큼 대선 승리를 자신하고 있지만 득표율에 따라 향후 입지가 달라질 수 있는 만큼 막판까지 총력을 기울였다.
만약 문 후보가 강조하는 ‘압도적 정권교체’가 이뤄질 경우 국정운영의 동력을 확보하고 개혁과제에 박차를 가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경쟁후보들의 혼전 속에서 신승하게 되면 국정운영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당선될 경우에도 득표율이 범보수 진영 재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만약 홍 후보가 대역전에 성공할 경우 한국당은 집권 여당 지위를 6개월 만에 되찾게 되고 보수진영의 ‘맏형 지위’를 공고히 하게 된다.
낙선하더라도 ‘당당한 2위’를 할 경우 홍 후보의 당내 영향력과 목소리가 커질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당내 갈등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친박(친박근혜)과 비박(비박근혜)의 계파 구분이 의미를 잃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역시 성적표에 따라 당의 명운이 갈릴 것으로 관측된다. 안 후보가 승리하게 되면 기존의 거대 양당체제가 무너지고 다당제에 의한 국정운영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의당은 현재 의석수가 40석에 불과하지만 집권 여당의 지위를 갖게 되는 만큼 협치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만일 안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하지 못해도 의미 있는 2위를 차지할 경우 여전히 제3당으로서의 ‘캐스팅보트’를 쥐고 집권 여당과의 관계에서 존재감을 과시할 수 있다.
바른정당에서는 유승민 후보가 ‘막판 대역전극’을 비롯,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둘 경우 생존 동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국당과의 보수 주도권 경쟁을 이어가는 것은 물론 여소야대 국면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 역시 승리하거나 두자릿수 득표에 성공하면 거대 정당 사이에서 당의 입지를 확고히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민주당·국민의당과의 정책 연대를 통해 개혁입법을 주도하며 존재감을 뽐낼 수 있다.
송우일ㆍ구윤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