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 공약] KTX·GTX 조기 착공, 7호선 청라 연장… 교통망 확충 한목소리

제목 없음-1 사본.jpg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운명의 날이 밝았다. 

새 대통령 취임 이후 변경되는 국정 운영 기조에 따라 경기·인천지역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꼼꼼한 공약 점검이 요구된다.

 

8일 본보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자유한국당 홍준표·국민의당 안철수·바른정당 유승민·정의당 심상정 후보 등 주요 5당 후보가 내놓은 경기·인천지역 공약을 분석한 결과, 상당수 후보가 비슷한 공약을 약속하면서도 구체적인 방향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비전을 제시했다.

경기도 공약

■경기지역 교통난 해소 다짐

문 후보는 수도권 분당선, 수인선, 경의선 등 ‘수도권 광역 급행열차’를 늘려 출퇴근 시간을 대폭 줄이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또 국토교통부 산하에 ‘대도시권 광역교통청’을 신설, 교통정책을 일원화하게 함으로써 대중교통의 정책 집행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홍 후보는 GTX A노선(파주~동탄), B노선(송도~마석), C노선(의정부~금정)을 오는 2019년까지 착공, 통근시간 20분대를 실현하겠다고 공약했다.

 

안 후보는 수도권 광역교통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광역급행버스(BRT) 노선을 확대하고 복합환승센터를 확충하겠다는 공약을 밝혔다. 안 후보 역시 다른 후보들과 마찬가지로 GTX 건설을 약속했다.

 

유 후보의 경우 ‘교통혁명으로 사통팔달 경기도’를 내세워 KTX, GTX 조기 착공, 수도권 지역 광역급행철도 서비스 확대, 수도권 광역교통청 설립을 제안했다.

■경기북부 발전 전략과 통일 전초기지 약속

문 후보는 북부 접경지역 규제완화와 미군 공여지를 국가주도로 개발하고 파주와 개성·해주를 연계해 ‘통일경제특구’를 조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홍 후보의 경우 경기북부에 골프빌리지, 승마공원 등 대규모 복합리조트를 건설하고 동두천 국가산업단지 등을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홍 후보는 DMZ 평화벨트를 조성, 접경지역 생태관광을 위한 트램을 건설하고 국립 제3현충원도 설립하겠다고 제시했다.

 

안 후보는 파주 출판도시 중심으로 경기 북부를 인문학·문화 콘텐츠 허브로 육성하겠다고 공약했다. 또한, DMZ 접경지역을 관광·환경생태 지역으로 조성하는 등 남북교류협력의 전초기지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유 후보는 경기도 동북부지역 발전을 위한 과도한 중복규제를 합리화하고 의료·교육·문화 인프라를 확충하겠다고 제안했다. 유 후보 역시 한반도 DMZ 통일관광특구를 조성하는 등 경기도를 남북교류협력의 전진기지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심 후보의 경우 파주·연천·고양·김포의 통일관광특구 및 DMZ 평화생태 허브 조성을 공약으로 내놨다.

■4차 산업혁명 선도하는 경기도

문 후보는 경기 남부를 4차 산업혁명을 이끌 혁신클러스터로 조성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했다.

 

홍 후보 역시 경기 남부에 4차 산업 중심 테크노밸리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홍 후보는 제조업과 정보통신기술을 결합한 인공지능, 로봇기술, 생명공학, 자율주행 단지를 조성하겠다는 방안을 내왔다.

 

안 후보의 경우 광명·시흥 등 경기 서남부 일대를 4차 산업혁명의 전초기지로 육성하겠다는 구상을 내놨고 유 후보는 판교·광교·동탄 융복합 스마트 혁신벨트, 미래형 기술개발 및 플랫폼 도시, 융복합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심 후보의 경우 판교·광교·수원·일산·광명 시흥 지구에 첨단 테크노밸리를 조성, 경기도가 일자리 창출의 중심지 역할을 할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인천시 공약

제19대 대통령선거에 출마한 주요 대선 후보들이 인구 300만 시대 인천 유권자의 표심을 잡기 위해 제시한 안보, 교통, 경제 등 주요공약을 제시했다.

 

이들이 인천발전을 위해 내놓은 공통 공약사항은 해경부활 및 인천환원, 제3 연륙교(영종~청라) 조기착공, 서울도시철도 7호선 청라연장 등이다.

■해경부활 및 인천환원ㆍ서울도시철도 7호선 청라 연장

후보들은 대선 기간에 인천 최대 이슈인 ‘해경부활 및 인천환원’에 대해서 배타적경제수역(EEZ) 수호 및 외국선박 불법조업 방지 등 범국가적 안보 측면에서 반드시 이뤄내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영종~청라 제3 연륙교 건설 사업은 주민들이 낸 사업비 5천억 원이 확보(LH 아파트 분양가 반영 건설사업비)되어있지만 수년째 민자도로(인천대교, 영종대교) 경쟁방지조항 및 기본설계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서울도시철도 7호선 청라 연장 문제는 우선 기재부 예비타당성 조사가 통과돼야 하며, 1조 2천382억 원의 재원 마련과 구체적인 사업 추진 여부가 관건이다.

 

특히, 이들 공약의 실현을 위해선 중앙 정부의 재정 지원 및 각 정당 후보들이 대선 결과에 관계없이, 대선 이후에도 초당적인 협력이 필수적이다.

■녹색환경금융도시건설ㆍ항공우주사업 육성

문 후보는 인천이 경제자유구역과 세계적인 공항이 있어 국제도시로 외연은 확장됐지만, 신도심과 원 도심 간 격차의 심화로 불균형 해결을 위해선 원 도심(중구, 동구 등) 개발 및 환경개선을 비롯해 노후화된 국가산업단지(남동, 부평, 주안) 고도화사업과 녹색기후기금(GCF) 활성화를 통한 녹색환경금융도시 송도 건설을 약속했다.

 

홍 후보는 인천의 신(新) 르네상스 추진 방안으로 경제자유구역인 송도는 CT, BT 중심, 영종은 항공우주사업, 청라는 4차산업 중심의 특성화와 접경지역인(강화군, 옹진군) 수도권 규제 한시적 제외 및 강화 남단 등을 경제자유구역으로 확대 지정, 부평미군기지 등 도심 내 군부대 이전 재배치 공약을 내놨다.

■내항재개발 조속 추진ㆍ고등법원 인천 원외 재판부 설치

안 후보는 인천의 대한민국 성장거점 조성 방안으로 경제자유구역 지정 목적에 맞는 경제 발전 국가지원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국가지원 공원으로 확대(부평 미군부대, 계양산 등), 내항재개발 조속 추진, 재벌 쇼핑몰 입점 총량 관리 및 인근 영향권 지자체 협의를 의무화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유 후보는 문화와 기술이 융합된 인천의 관광ㆍ문화 산업 활성화 추진 공약으로 국립해양박물관 인천 건립 및 수도권 매립지 테마파크 조성, 경인아라뱃길 활성화와 원 도심 재생사업 지원, 고등법원 인천 원외 재판부 설치 및 인천서북부지원ㆍ지청 설립을 약속했다.

 

심 후보는 세계 물류중심도시 인천을 기치로 인천공항 항공기정비사업(MRO) 특화단지조성과 인천~해주~개성을 잇는 서해 평화 경제특별지대 구축, 연안여객 준공영제 추진 서해 5도 NLL 평화 수역을 위한 남북 수산물 경협사업 추진 공약을 발표했다.

 

인천 정가의 한 관계자는 “인천공약 대부분이 중앙정부와 타 시도와의 이해관계가 섞여 있는 만큼 각 정당 후보들로부터 대선 이후의 공약 추진 및 협력 방안을 약속받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송우일ㆍ허현범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