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광교 신청사 입찰 심의에 국토교통부 중앙건설심의위원을 참여시키기로 해 ‘공정성’ 논란(본보 5월8일자 1면)이 일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의회가 중앙심의위원의 원천 배제를 요구하며 강하게 발발하고 나섰다.
15일 열린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1차 회의에서 자유한국당 권영천 의원(이천2)은 “경기도가 ‘광교 신청사 건립’ 공사업체를 최종 선정하는 기술제안서 평가심의위원회에 국토교통부 중앙건설심의위원들을 참가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경기도 지방건설심의위원들의 능력이 떨어지는 것도 아닌데 굳이 중앙 심의위원들을 참여시키는 이유를 도무지 모르겠다. 경기도는 신청사 건립을 자체적으로 심의할 수준도 안 되는 것이냐”라고 질타했다.
앞서 도는 광교 신청사 건립공사와 관련해 이달 말께 기술제안서 평가심의위원회를 구성한 뒤 다음 달 초 최종 공사업체를 선정하기로 했다. 기술제안서 평가심의위원회는 총 10명가량으로 구성되며 공무원과 공공기관 직원, 교수 등이 포함된 경기도 지방건설심의위원 50명 중 랜덤 방식을 통해 위원을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도가 이번 위원회에 국토교통부에서 구성ㆍ운영하고 있는 중앙건설심의위원회 소속 위원을 최대 4명까지 포함시킬 계획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공정성 논란이 일고 있다.
도가 중앙위원들을 끌어들이는 것이 자칫 대형사에 유리한 국면을 조성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비춰질 수 있다는 해석 때문이다.
권 의원은 “경기도 심의위원들의 공정성과 객관성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상황에서 중앙 위원들의 참여는 오히려 오해의 소지가 생길 수 있다”면서 “도에서 어느 정도 계획을 세운 것 같지만 상임위 차원에서 재논의해 도의회 의견을 전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국민의당ㆍ바른정당 연합 한길룡 의원(파주4) 역시 “경기도의 랜드마크가 될 광교 신청사 건립 사업에 중앙이 관여하는 것은 모양새가 좋지 못하다”고 꼬집은 뒤 “해당 사안과 관련해 상임위 소속 의원들과 어떠한 논의도 거치지 않았다. 자체 회의를 거쳐 중앙 심의위원을 완전히 배제하는 방안을 관철시킬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정기 도 건설국장은 “중앙 심의위원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최종적으로 결정된 바는 없다”며 “도 내부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만큼 도와 도의회 의견을 수렴해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광교 신청사는 현재 공사 입찰에 ㈜태영건설 컨소시엄과 현대건설㈜ 컨소시엄, ㈜포스코건설 컨소시엄 등 총 3개 컨소시엄이 참여해 경쟁을 벌이고 있다.
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