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경기천년의 해 속도내는 대북교류 사업

개성 고려 성균관·한옥 복원 등 道, 중장기 문화예술 교류 추진
말라리아 방제·결핵퇴치도 지원

문재인 정부가 북한과의 교류 재개를 가시화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가 내년 경기 천년의 해와 관련한 북한농촌 공동체 지원(북한형 따복공동체 종합개발), 개성 고려 성균관 및 한옥 복원 등 대북 교류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3일 도 관계자는 “현재 도의 대북 관련 단ㆍ중ㆍ장기적인 프로젝트 대부분은 검토를 완료한 상태”라며 “새 정부 구성이 완료되고 대북 방침이 결정되면 과거 정부에서 단절됐던 북한과의 교류사업을 곧바로 재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 관계자는 “내년도가 경기 1천 년의 해인 만큼 이와 연계된 사업에도 상당한 비중을 뒀다”고 덧붙였다.

 

현재까지 도가 준비한 대북 교류사업은 10여 개로, 보건 및 위생과 관련된 단기 지원사업에서부터 장기적 프로젝트인 북한형 따복 공동체인 북한농촌 공동체 개발사업까지 총망라하고 있다.

 

우선 도는 단기적으로 DMZ 일원을 중심으로 한 말라리아 공동방제사업과 더불어 북한 내에 확산하고 있는 결핵퇴치를 위한 치료제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더불어 도는 연천 등 북부지역 지자체에 위협이 되는 임진강 수계의 공동 활용을 위한 공동 연구 및 사업에 나서고 축구 등 스포츠 교류도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성사시킬 계획이다. 이와 함께 날로 황폐화되고 있는 북한 산림의 녹화를 위해 양묘지원 사업도 전개한다.

 

중장기적 지원사업은 경기 1천 년 해를 맞아 추진하는 문화ㆍ예술교류와 북한형 따복마을인 북한농촌 공동체 개발사업이다. 

특히 도는 경기 1천 년 해를 맞아 현재 개성시 일대에 산재해 있는 고려시대 성균관과 한옥, 향교 등의 복원 및 보존, 건축양식 연구 사업에 남북이 함께 하는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 또한 북한이 보존하고 있는 선조의 춤, 음악, 문화재 등의 교류도 병행해 추진한다는 복안이다.

 

북한농촌 공동체 종합개발사업은 그동안 평양시 당곡리를 중심으로 추진했던 농촌지원사업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일방적 지원이 아닌 자립형 공동체 구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 사업은 대략 5천~1만 명 정도 거주하는 지역의 협동농장을 대상으로 한 농촌형 마을 만들기, 공장 및 기업소를 대상으로 한 도시형 마을 만들기, 도시와 농촌을 연계한 도농연계형 마을 만들기 등 3개 유형으로 추진된다.

 

농촌형 마을 만들기는 북한의 농촌 현대화사업과 외부시장 연계를 통한 자립형 마을 만들기로, 단기적으로는 농업분야 협력사업으로 생산력을 향상시키고 중장기적으로 북한 내부시장(장마당)과 경제특구를 연계해 최종적으로 한국 및 해외시장에서 이윤창출과 재투자 구조를 정립시키는 모델이다.

 

도시형 마을 만들기는 노동집약적 경공업 중심의 자립형 마을 만들기로, 북측 기업소의 생산력 제고와 상업적 교역을 결합해 새로운 생산ㆍ생활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도농연계형 마을 만들기 사업은 농촌ㆍ도시형 마을 만들기 사업을 동시에 추진할 수 있는 대상지를 선정, 사업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도는 북한이 부담스러워 하는 만큼 기존 농촌지원사업을 전개했던 평양시 당곡리는 북한농촌 공동체 종합개발사업 대상지에서 제외할 방침이다.

정일형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