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동안 정부는 재생에너지를 적극 확대해온 세계적인 추세에 역행하며, 생산단가가 낮다는 이유로 핵발전소와 석탄발전에 집중해 왔다. 그 결과 우리는 일상적으로 미세먼지 공포속에 살고 지진과 함께 핵폭발 사고의 위험을 걱정하게 되었다.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새 정권에서 탈핵, 석탄발전 축소를 추진하고 있는 것은 매우 환영할 만한 일이다.
최근 핵발전 관련 대학교수 등이 성명서를 발표하며 문재인 대통령의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및 탈핵에너지전환으로의 공약이행에 제동을 걸려하고 있다.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원전안전신화’는 무너졌고, 작년 리히터 규모 진도 5.8의 경주 지진을 통해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에 안전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음에도 이런 성명서를 발표하는 저의가 무척 의심스럽다. 98% 공정에 있던 원전공사를 중단시키고 2025년까지 원전제로를 결정한 대만의 경험은 왜 애써 외면하는지 모르겠다.
핵 및 석탄발전소의 추가적인 건설에 앞서 ‘십시일반’의 마음으로 각 마을과 아파트에서 에너지 절약, 효율화 그리고 재생에너지 확대방안을 우선적으로 찾아야 하지 않을까. 이제 정부와 각 지자체가 시민들의 ‘십시일반’의 의지가 촉진되도록, 시민의 건강과 안전에 필수적인 탈 원전·석탄정책 추진과 아울러 지역분산형 에너지자립체계를 세우는 다양한 정책이 수립되길 기대한다. 우선 그 신호로 문재인 대통령을 포함 4명의 대통령 후보들이 공약으로 약속했던 신고리 5, 6호기 폐기절차를 이행해주길 요청한다.
이상명 수원기후변화체험교육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