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등 기초정보도 알 수 없어” 하반기공채 앞두고 우려 목소리
정부가 이달부터 전국 공공기관에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하기로 하면서 하반기 공개채용을 앞둔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에서 일부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오는 9월 공공기관 통합채용을 위해 이달부터 기관별 신규 인원 수요조사에 돌입할 예정이다. 지난 2015년 도입된 통합채용은 도 산하 24개 공공기관 응시자가 공통으로 필기시험을 거친 뒤 이후 각 기관에서 면접시험을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이달부터 전국 332개 공공기관에서 ‘공공부문 블라인드 채용’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경기도 통합채용에도 블라인드 채용방식이 도입될 예정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블라인드 채용’이란 공공기관 입사지원서에 출신 지역, 신체조건, 학력을 기재하는 행위 및 사진 부착 등을 금지하는 방식이다. 또 면접 단계에서 면접관이 응시자의 인적사항에 관해 물어서는 안 되며 직무 관련 질문만 허용된다.
그러나 하반기 채용이 불과 2개월 앞둔 공공기관에서는 ‘당장 블라인드 채용으로 어떻게 직원을 선발하느냐’는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공공기관 인사담당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점은 ‘업무 능력’이다.
학력(전공) 기재가 금지되면서 기관이 필요한 인재를 채용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A기관 인사담당자는 “대학에서 어떤 공부를 했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면 적재적소 인재를 뽑을 수 없다”면서 “정말 업무에 필요한 사람을 뽑지 못하면 비효율적인 채용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B기관 인사담당자 역시 “공공기관은 복지ㆍ연구ㆍ수출 등 기관마다 특수한 성격이 있는데 블라인드 채용을 하면 적합한 인재를 뽑을 수 없을 것”이라며 “채용 방식은 선택의 문제인데 기관에 일괄 적용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반발했다.
블라인드 채용이 역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도 제기됐다. C기관 인사담당자는 “지원자에 대한 정보가 많지 않으니 오히려 면접이 강화되고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면서 “그런데 사기업은 수일간 합숙면접과 2ㆍ3차 면접 등으로 지원자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겠지만 기관은 단 1번만의 면접만 치르니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정부 발표 이후 아직 지침이 내려오지 않았지만 하반기 채용을 위해 대비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진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