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스포츠 산업과 기업가 정신

▲
가난한 집안 출신, 기이한 외모, 키 162㎝, 몸무게 45㎏이라는 왜소한 체격 때문에 취업에 번번이 실패했던 영어 강사출신이 세계적인 부호가 되었다는 성공 스토리는 전 세계 젊은이들을 열광하게 만들었다. 중국의 거부 알리바바 마윈의 이야기다. 마윈은 31살의 나이로 창업에 도전했지만 경험 부족으로 실패했고 1995년 인터넷 관련 기업을 창업했지만 이마저도 실패로 돌아갔다. 

거듭된 실패에도 불구하고 마윈은 1999년 알리바바닷컴이라는 회사를 차린다. 마윈에게는 알리바바를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포부가 있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투자를 받으려 수많은 회사를 찾아갔지만 이마저도 실패로 돌아갔다. 하지만 마윈은 포기하지 않고 마침내 소프트뱅크의 투자를 받아내면서 2014년 알리바바 그룹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했다.

 

이 때 회사 가치는 약 1천667억 달러, 원화로 환산하면 175조 원에 이른다.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를 잇는 세계 IT 업계 4위 기업이며 2만5천 명이 넘는 직원을 보유한 알리바바 그룹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알리바바의 성공요인은 한정된 자원에서도 혁신을 바탕으로 진취적으로 위험을 감수하는 마윈의 기업가정신이 바탕이 되었다.

▲
기업가정신은 사회로부터 존경받을 수 있고, 기업을 건실하게 성장 및 발전시킬 수 있는 기업가 혹은 경영자로서의 이념 및 철학을 뜻한다. 오늘날 세계 주요국들은 이러한 기업가정신을 신성장 동력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고실업이 만연한 경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대안으로서 기업가정신의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최근 스포츠교육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유소년 스포츠클럽 경영형태가 대규모 인적자원이 투입되는 기업의 조직구조로 변화되고 있다. 스포츠클럽을 둘러싼 환경도 과거와는 비교하지 못할 정도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어느 때보다 경영자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스포츠클럽 시장의 인적 물적 자원이 제한되어 있고 경영자가 여러 일들을 동시에 소화해 내면서 안정적이며 유능한 종사자의 확보는 스포츠클럽 기업의 성패를 판가름한다. 즉, 스포츠클럽 경영자의 기업가정신이 구성원들과 적절하게 소통되고 조직의 가치로 확대 재생산 되느냐가 성패의 열쇠가 될 것이다.

 

백성욱 ㈔한국유소년스포츠클럽협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