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인프라 차이 탓… ‘치안관리 불균형’ 보완책 필요
경기경찰이 생활 인프라가 낙후된 경기북부보다 경기남부를 선호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경찰들의 ‘남부행’은 결국 북부지역 치안 관리에 어려움으로 이어지고 있어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3일 경기북부지방경찰청 등에 따르면 경기지방경찰청은 지난해 3월 경기남부(21개 시·군)와 경기북부(10개 시·군) 등 2개로 나눠 각각 개청했다. 이에 기존의 경기청 소속으로 일하던 경찰들은 당시 근무하던 시·군을 기준으로 남부청과 북부청 소속에 각각 속하게 됐다.
일반적으로 경찰들은 해당 지방청에서만 근무해야 하는데, 갑작스런 분리가 직원에게 피해가 됐다고 판단한 두 지방청은 희망자에 한해 남·북부 간 근무지 이동을 자유롭게 허용했다. 타 지방청 간 근무지 변경을 하려면 기본 10년 정도 근무해야 자격이 생기는 원칙에 예외를 둔 것이다.
문제는 경찰들 사이에서 경기북부보다 경기남부에서 근무하기를 바라는 분위기가 깔렸다는 점이다. 청 간 분리 이후 지난 1년간 북부에서 남부로 전입한 인원은 총 45명(경위 4명·경사 15명·경장 13명·순경 13명), 남부에서 북부로 전입한 인원은 19명(경위 7명·경사 4명·경장 4명·순경 4명) 등으로 집계됐다. 경기북부청이 순수하게 손해 본 직원 수는 ‘-26명’인 셈이다.
더욱이 경기북부청 소속 일부 젊은 경찰 사이에서 앞으로도 경기남부로 이동하고자 하는 이들이 여전히 있어 경기북부청의 직원 누수현상은 지속될 전망이다. 특히, 경기북부청은 비슷한 규모의 타 청(인천청 739명·대구청 605명)에 비해 20~45%가량 부족한 500여 명이어서 가뜩이나 직원이 부족했던 상황이었다. 직원 누수 현상이 현재 북부지역에 남아있는 경찰들에게 보이지 않는 업무 과중으로 이어졌으며 사기도 저하된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처럼 경기 경찰이 남부로 가기를 바라는 이유 중 하나는 도시 인프라 차이로 분석된다. 연천, 포천, 동두천 등 낙후된 지역보다 수원, 용인, 성남 등 교통 및 생활 인프라가 발전한 도시가 많은 남부에서 근무하고자 하는 희망이 반영된 것이다.
곽대경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갑작스러운 분리로 말미암아 경기북부 치안 관리에 불균형 현상으로 이어졌다. 경기북부로 전입을 희망하는 경찰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을 고민하면 좋을 것 같다”고 조언했다.
의정부=조철오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