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의 미세먼지에 대한 공포는 이제 그 옛날 수돗물에 대한 과도한 공포로 인해 조성된 생수와 정수기, 그리고 실내습도에 대한 과도한 맹신으로 시작된 가습기살균제의 대재앙 등을 떠올릴 정도로 높아져있다. 확실하게 과학적으로 검증되지도 못한 공기청정기와 미세먼지 마스크시장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고 있고 매우 위험수준으로 경보가 발령이 돼도 특별히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지 못하다. 외출을 자제하라는 권고가 나오는 상황에도 다수대중이 이용하는 시설에서는 아랑곳 않고 야외활동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런 무질서한 상황이 벌어지는 데에는 중앙정부, 시정부할 것 없이 일관되고 믿음직한 정보와 대응책을 주지 못하는데서 시작한다. 최우선순위는 국민들에게 ‘정부의 정보와 대책을 믿으면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고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라는 확실한 신호를 주는 것이지만 안타깝게도 지금까지 국가적 재난상황에서 대한민국정부는 그러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고 이에 자연스레 시민들은 정부의 대책보다는 자구책을 강구하려는 상황이 강해지게 되었다.
이제라도 시민들의 적극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체계를 정비하고, 많은 이해 당사자들의 논의자리를 통해 합의하는 과정을 만들기를 바란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그 정책이 효과적이고 합리적이라고 판단하게 된다면 조금은 불편하더라도 시민들은 적극적으로 정책에 동참하게 될 것이다. 일방적인 계도와 계몽으로 미세먼지 정책을 밀어붙이면 아마도 시민들 개개인의 생활에 조금은 불편을 가지고 올 수밖에 없는 미세먼지 정책의 특성상 절대 성공을 거둘 수 없다.
마지막으로 지방정부의 역할을 스스로 한정지으려 하지 말아야 한다. 수원시내 관용차 2부제, 매연발생차량 단속강화 등의 보여주기식 정책으로는 사실 수원시의 미세먼지저감 정책은 생색내기에 불과하다. 선도적이고 강력한 정책 등으로 지방정부의 모범이 되기를 바란다.
김성우 수원환경운동센터 사무국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