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고령화에 갈수록 환자 급증 2041년엔 200만명 넘어서…
국가치매책임제 정책에 큰 기여 “道광역치매센터 분원 설립해야”
정부의 국가치매센터 설립을 앞두고 현장 목소리를 듣기 위해 지난달 30일 파주지역 예빛수요양원 등을 방문한 김근홍 한국노년학회 회장(55ㆍ전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장)은 “65세 이상 노인층에서 무섭게 치매환자가 늘고 있는 만큼 발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1980년대 독일 뤼네브르크대학으로 유학해 당시로는 드물게 노인복지를 전공했던 김 회장은 ‘치매관리법의 현황과 개선방안’ 등 치매관련 논문과 저술, 연구보고서가 90여 편을 넘을 정도로 학계에서는 국내 최고 치매 전문가로 손꼽는다.
김 회장은 지난 7월 1일부터 사회복지학, 의학, 보건학, 행정학 등 사회 각 분야 전문가 6천여 명이 참여하는 노인복지 국내 최대 학술단체인 한국노년학회를 이끌고 있다. 그는 국립 중앙치매센터전문위원으로서 문재인 정부의 국가치매책임제에 대한 정책공약개발에 참여, 치매를 국가의 책임하에 관리토록 하는 정책입안에 크게 기여했다.
김 회장은 “정부가 하반기부터 본격 실천할 국가치매책임제는 건강보험료 부담률을 90% 늘이는 것과 국가치매지원센터를 현재 47개에서 전국에 252개로 늘려 설립해 논스톱으로 치매를 치료하고 관리하는 것이 핵심이다”며 “이는 치매센터의 서울, 수도권 편중현상을 막고 골고루 혜택을 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강남대학교에 국내 대학 최초로 치매관련 교양과목인 ‘치매의 이해’를 개설하기도 한 김 회장은 “치매는 암과 함께 국민이 가장 두려워하는 양대질환으로 현재 65세 이상 치매환자가 72만여 명이다”며 “이는 2024년은 100만 명 2050년에는 270만 명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 치매센터의 역할을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치매는 치매당사자의 문제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가족, 이웃도 치매에 무관할 수 없다”라며 “그래서 치매에 대한 정책접근은 여쭙는 복지로 국가적 개입과 사회적, 공동체적 배려가 절대 필요했으나 그동안 우리나라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며 꼬집었다.
김 회장은 경기도치매관리와 관련, “경기도의 치매환자는 전국의 약 19%로 13만 명, 전국 평균치에 비해 높은 수치이다”며 “그런데 워낙 지역이 방대해 도 광역치매센터로서 구석구석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효율을 높이려면 경기북부 등 권역별로 분원을 설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치매환자 보살핌은 환자를 인권과 인격을 가진 사람으로 받아들이고 대해야 한다”며 “치매환자를 평소 대하는 모습 그대로 인격적인 대우, 어른 대우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 탓을 하는 것은 아무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조언했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