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일부 대피호 北포격 무용지물론… 옹진군, 시설점검 결과 ‘이상무’

인천시 옹진군 연평도에 산재한 대피호 중 일부가 실제 포격 시 무용지물이라는 주민들의 지적이 제기된 가운데(본보 8월1일 1면) 해당 기초단체는 점검 결과 이상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옹진군은 장마철을 대비해 서해5도서 대피시설에 대한 시설점검을 한 결과 주민과 관련한 대피시설에서 특별한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6일 밝혔다.

 

군은 지난 2010년 연평포격 이후 국방과학연구원 자문으로 당시 소방방재청의 대피시설 기준에 따라 콘크리트 두께 50㎝이상과 폭탄 직격 시 완충작용을 하는 복토 60㎝를 기준으로 모든 대피시설이 설계·시공됐다고 전했다.

 

특히 지상 노출 대피시설은 토낭(흙주머니)을 쌓고 위장효과와 토사유실 방지를 위해 풀과 잡목이 자라도록한 지침을 준수해 관리하고 있다는 게 군의 설명이다. 이 기준은 3바(bar, 압력단위)의 폭압(675㎏의 폭탄이 10m 전방에서 폭발)에도 견딜 수 있는 구조물로 주민이 대피할 경우 안정을 보장 받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군은 일부 토낭이 유실된 대피시설은 안전에 문제가 없지만, 방호능력 보강과 경관개선 등을 위해 보수작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군은 지난 2010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 사태 이후 국비 444억원과 시·군비 86억원 등 총 530억원을 들여 백령도 26개, 연평도 7개, 대·소청도 9개 등 모두 42개의 최신식 대피호를 지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