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군이 수천만 원의 예산을 들여 2년째 국가 멸종위기종이자 수많은 동물의 배설물을 처리하는 환경지표종으로 분류되는 곤충인 소똥구리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예산문제 등으로 논란이 일고 있다. 국가가 할 일을 위해 굳이 지자체가 나서야 하느냐는 등의 지적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군에 따르면 군은 환경부가 지정한 국가 멸종위기종인 소똥구리 복원을 위해 지난해 2천만 원을 들여 몽골로부터 소똥구리 130여 마리를 들여와 양평곤충박물관에서 작업을 진행했으나 폐사했고, 올해는 지난해보다 예산을 3배 이상 늘린 7천500만 원으로 140여 마리를 들여와 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논란의 핵심은 소똥구리 복원에 이 같은 예산을 들이는 게 타당하냐는 점이고, 국가가 할 일을 지자체가 굳이 나설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생태계는 소똥구리는 지난 1970년대 이후 국내에서 반세기 가깝게 살아있는 개체가 발견된 적이 없어 최근 국가 멸종위기종에서조차 제외될 처지에 놓여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평곤충박물관은 현재 소똥구리를 외부와 격리된 환경에서 조심스럽게 사육하고 있다. 소똥구리의 먹이가 되는 말똥은 전주에서 공수해 온다. 항생제나 농약을 쓴 사료를 먹은 가축의 배설물은 소똥구리가 먹지 않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점에서 소똥구리는 환경지표종으로도 분류된다. 친환경농업을 지향하는 군이 소똥구리 복원에 정성을 기울이는 이유이기도 하다.
원로 곤충학자이자 양평곤충박물관장인 신유항 박사는 “소똥구리 복원에는 예산도 필요하지만, 소똥구리 복원이 가져올 경제적 이익에만 초점을 맞추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소똥구리 복원에 대한 일부 논란으로 예산 집행이 잠시 중지된 적이 있었지만, 현재는 정상적으로 예산이 집행되고 있다. 소똥구리 복원사업에 관심과 애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양평=장세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