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희망의 길 안내” vs 野 “한반도 정세 대처 빈약”

文 대통령 경축사 엇갈린 평가… 건국절 논란도 재점화

여야는 15일 문재인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와 관련, 대북 정책과 건국절에 대한 엇갈린 평가를 내렸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이날 오전 광화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2주년 광복절 경축식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한반도 위기 속에서 오늘 대통령의 메시지는 큰 울림과 의미가 있다”며 “(북한이) 핵과 미사일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의 장으로 나오면 한국 정부가 주도적으로 북한을 희망의 길로 안내하겠다는 깊은 메시지 담겨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자유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는 “현 안보 시점에서 심도깊은 적극적인 대처로 국민을 안심시키는 이런 말씀이 상대적으로 빈약하지 않았나 싶다”면서 “구체적으로 사드 배치를 빨리 마쳐서 대처하겠다든지 이런 적극적 표현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국민의당 박주선 비상대책위원장은 “지금 대화를 제의할 때가 아니라고 하면서도 대화를 촉구했다”며 “대북 정책의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바른정당 전지명 대변인도 오후 논평을 통해 “문 대통령이 밝힌 북한문제 해법은 대화와 제재란 기존 기조의 답습이고 새로운 방안이 없는 원론에 불과하다는 점이 실망스럽다”고 평가절하했다.

이런 가운데 건국절을 둘러싼 논란도 재점화 됐다.

문 대통령은 이날 경축사에서 “2년 후 2019년은 대한민국 건국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해”라며 “내년 8·15는 정부 수립 70주년이기도 하다”면서, 1919년 임시정부 수립일을 대한민국 건국일이라는 인식을 분명히 했다.

 

민주당 백혜련 대변인(수원을)은 논평에서 “야당은 헌법 정신을 무시한 ‘48년 건국론’ 주장 등 무의미하고 무책임한 정치나 정쟁을 중단하라”며 문 대통령 주장에 힘을 보탰다.

 

하지만 자유한국당 류석춘 혁신위원장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혁신안 발표 후 기자들과 일문일답에서 “대한민국이 1948년에 건국된 것은 논란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라며 “사람으로 치면 대한민국은 1919년 임신되고 1948년 태어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바른정당 이종철 대변인은 “‘1919년 건국’과 ‘1948년 건국’이 ‘좌파’와 ‘우파’의 전유물이 돼 한치도 양보할 수 없는 것인 양 날카롭게 대립하고 있다”면서 “대통령의 광복절 첫 행보가 국민을 갈라놓고, 눈앞에 뻔히 예상되는 대립과 갈등을 더욱 부추기는 것이었다니 참으로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김재민·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