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거센 반발 “일방추진 납득안가”
교통본부 “연말 착공, 주민불편 최소화”
정부의 일방적인 북수원 일대 BRT사업(간선급행버스체계)추진에 북수원 주민들이 반발(본보 5월31일자 1면ㆍ6월23일자 7면)하는 가운데 정부가 거세지는 주민 반발 속에도 사업 추진에 변함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 주민과 정부 간 마찰이 심화될 전망이다. BRT(Bus Rapid Transit)는 도로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해 급행버스를 운행하게 하는 대중교통시스템이다.
20일 오전 11시께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1번 국도 대로변에는 ‘졸속행정 지역주민 뿔났다’ ‘버스중앙전용차로제 시행계획 철회하라’ ‘무엇을 위해 주민들의 희생을 강요하는가’라고 적힌 BRT사업을 반대하는 내용의 현수막으로 뒤덮여 있다.
북수원시장 상인회를 비롯한 상인들과 파장동 주민들, 북수원지역발전협의회 등에서 내건 현수막들이다. 올해 초부터 정부가 추진하는 북수원 일대 BRT사업 추진에 우려하던 주민들의 사업 반대 목소리가 더욱 거세지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수원시 역시 사업이 추진된 지난 2009년부터 반대 입장을 피력한데다 최근 주민 반발 의견을 정부에 전달하기도 했다.
김은수 수원시의회 안전교통건설위원장(한국당)은 “북수원 주민은 물론 수원시에서도 반대의견을 피력한 사업을 정부가 일방적으로 몰아부치는 이유를 도무지 납득할 수 없다”라며 “정부에서는 사업 추진에 대해 다시 한 번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사업을 추진하는 수도권교통본부는 주민을 위한 국책사업이라며 사업 추진에 변함이 없다고 못박아 공사가 시작되는 연말께를 맞아 주민들과 정부의 갈등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수도권본부 관계자는 “BRT사업의 추진 배경은 대중교통 활성화를 통한 제한된 교통인프라를 활용하자는 데 있으며, 오로지 주민편의를 위한 국책사업”이라며 “교통체증 등 주민들이 우려하는 부분은 설계를 하면서 보완해 주민불편이 없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수도권본부는 총 사업비 498억 원(정부와 경기도 50%씩 부담)을 들여 북수원TG~장안구청 사거리까지 5.9㎞를 잇는 구간에 BRT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오는 10월 실시설계 용역 결과가 나오는 대로 최종보고회를 개최한 뒤 올해 안에 공사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권혁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