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반입부터 조리까지 내달부터 전과정 모니터링
경기도교육청이 ‘살충제 달걀’ 사태로 인한 교육현장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도내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에 나선다. 특히 도교육청은 식재료 반입부터 조리가 이뤄지는 모든 과정을 모니터링 하기로 결정하는 등 강도 높은 점검을 예고했다.
21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다음 달부터 12월까지 도내 초·중·고(특수학교 포함) 2천132개교(3월 기준 수치)를 대상으로 ‘학교급식 운영평가 및 위생·안전점검’을 준비하고 있다.
이번 점검은 ▲학교급식법령 준수 ▲급식운영 지도 및 권장 사항 ▲직전 운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여부 ▲학교급식위생·안전관리기준 준수 ▲학교급식 지도 및 권장사항 ▲직전 위생·안전점검 지적사항 개선 여부 등으로 나뉘어 이뤄진다.
특히 축산물등급판정서, 검수일지 등 식재료 품질관리기준 준수 여부에 대한 점검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 학부모와 영양사, 조리원 등으로 구성된 모니터링단 활동 시행 여부도 확인할 예정이다.
이 같은 도교육청의 강화된 점검은 식재료 반입 단계부터 철저한 점검을 통해 교육현장에서 느끼는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는 교육부의 ‘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에 따라 해마다 상반기와 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는 점검이지만, 올해 하반기부터는 ‘살충제 달걀’ 사태로 인한 학부모 민원과 불안감을 줄이기 위해 점검을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현재 경기지역 일선 학교에는 학교급식법에 따라 2등급 이상의 ‘등급판정달걀’이 공급되고 있다. 이에 학교마다 등급판정확인서와 함께 달걀이 반입되고 있으며, 입고 시 축산물품질평가원 홈페이지에 ‘검수등록’을 통해 해당 등급판정확인서 사실 여부 등을 확인하게 돼 있다. 이후 학부모와 영양사, 조리원 등으로 구성된 이들이 검수와 모니터링 활동을 병행해 점검에 나서고 있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은 처음으로 일선 학교에 공급되는 ‘등급판정달걀’ 검수 과정과 시스템 준수 여부 점검에도 나선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현재 일선 학교에서 등급판정란 및 확인서에 있는 난각(달걀 껍데기) 코드로도 생산지역과 생산자 등의 정보 확인이 가능하지만, 이번 점검에서 이 같은 시스템 준수 여부를 들여다볼 계획”이라며 “달걀뿐만 아니라 학교에 반입되는 품목에 대한 강도 높은 점검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태·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