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간세포암 극복’ 장풍영씨 병원 로비서 색소폰 연주 펼쳐
“암입니다”라는 말을 두 번이나 듣고, 수술 시도도 어렵다고 판단된 검사 결과가 나왔으나 의료진과 함께 희망을 품고 끝까지 노력한 끝에 치료에 성공, 자신의 희망담을 색소폰 연주로 전하는 이가 있어 화제다.
많은 이들에게 희망을 선사한 주인공은 바로 장풍영씨(68). 그는 지금은 건강한 모습으로 암 환자와 지역 주민을 위해 병원 로비에서 색소폰 공연을 이어가는 희망 전도사로 활약하고 있다. 그러나 맨 처음 대장암으로 수술을 받은 2010년부터 몇 년 동안 그는 그저 평범한 암 환자 중 하나였다. 이후 B형 간염과 간경화를 거쳐 생긴 간세포암 판정은 “또 암이라니”라는 생각과 함께 절망으로 다가왔다.
더 큰 문제는 대장암 치료를 받을 때와 달리 치료를 위한 선택지가 하나하나 줄어들어 가는데도 차도가 없고 괴로움만 심해진다는 것이었다. 고주파 치료를 받은 후엔 치료 효과도 크지 않았고, 색전술(암세포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을 찾아 항암제를 투여하는 치료법)을 받고서는 몇 번이나 피를 토하기도 했다.
그래도 희망을 잃지 않았던 그에게, 이것은 불행의 끝이 아니었다. “결국 다 안 되면 간 이식 수술을 받으면 되지”라고 생각했지만, “이식 수술은 시도조차도 위험할 수 있다”는 검사 결과가 나왔다.
간암 수술 중에는 출혈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데, 이때 꼭 필요한 수혈을 받으면 혈소판으로 인한 아나필락시스(항원ㆍ항체 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실신 등의 급격한 전신 반응)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 수술 시도가 어렵다는 것이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유일한 간 공여자로 나선 20대 초반의 아들은 혈액형이 맞지 않았다.
장씨가 희망을 잃기 직전, 치료를 맡고 있던 분당서울대병원 간 이식 팀(한호성, 김진욱, 조재영, 최영록 교수)은 국내외 여러 연구 자료 검토는 물론 알레르기내과 등의 조언을 얻어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의료진은 수혈 시 아나필락시스를 일으킬 수 있는 혈소판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혈액을 ‘씻어내는’ 방법이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혈액형이 맞지 않는 아들의 간을 이식하기 위해 면역억제제 농도를 가능한 한 높이는 등 여러 시도를 적용해 수술을 집도하기로 했다.
운명의 2015년 4월, 다행히 수술 결과는 매우 좋았다. 그리고 수술 후 2년여 간 꾸준히 회복에 매진해온 결과, 이제는 큰 폐활량은 물론 뱃심도 필요한 색소폰 연주까지 가능해졌다. 자신을 보고 희망을 가지라며 병원 로비에서 암환자와 지역주민을 위한 공연도 이어가고 있다. 아버지에게 기꺼이 간을 공여한 아들 역시 학업을 마치고 뮤지션으로 사회에 나갈 준비를 하고 있다.
장씨의 간 이식 수술을 맡았던 최영록 교수는 “환자께서 끝까지 희망을 버리지 않으시고 치료에 긍정적으로 임해주신 것이 성공적 수술의 가장 큰 요인인 것 같다”며 “희망 전도사로서 환자들께 멋진 음악을 선사해주시는 장풍영님께 감사하다”고 전했다.
성남=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