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론] 부천 상동 복합쇼핑몰, 해법은 없나

쇼핑몰 건립 싸고 지자체간 갈등
부천-인천, 시민 위한 상생안 찾아야

▲
‘부천’이라는 지명은 일제 강점기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조선총독부는 효과적인 통제를 위해 1914년 4월 부(府)와 군(郡)으로 지방제도를 개편하는 부제를 실시하면서 일본 조계 지역과 일부 면을 합해 인천부로 삼고, 나머지 지역과 부평군을 합해 부천군으로 개편했다. 신설된 부천군은 인천부의 일부와 부평군을 중심으로 강화군의 일부 섬과 영흥면의 섬들을 포함하였고 당시 부천군청은 인천 도호부가 위치한 문학면 관교리에 있었다.

 

1961년 7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발표되고 공업화와 도시화가 이뤄지면서 대도시의 인구가 급격하게 팽창했다. 이에 따라 1973년 행정구역 개편이 대대적으로 이뤄졌다. 특히 수도권의 합리적인 개발과 인구 집중 억제를 위하여 수도권의 관할 구역 조정이 있었고 이때 부천군이 폐지되면서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됐다.

 

이처럼 과거 인천과 부천은 하나였고 서울과 인천의 중간에서 다리 노릇을 하는 고장이 바로 부천이다. 한때는 같은 지역, 같은 생활권에서 함께 했던 두 지자체가 부천 신세계 복합쇼핑몰 건립을 두고 이제는 극한적이고 감정적 대립으로 연일 충돌하고 있다.

지난달 18일 인천시가 신세계 스타필드 청라점 건축허가를 내주자 부천시는 즉각 반발했다. 김만수 부천시장은 이중적 잣대라며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괴상한 행정’이라고 인천시를 비난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는 ‘소설을 쓰고 있다’며 ‘궁지에 몰린 감정적 발언’이라고 김 시장의 발언을 정면 반박했다.

 

발언의 적절성 여부를 떠나 이러한 주장을 하게 된 이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그동안 인천은 중소상인, 골목상권, 재래시장을 보호한다는 명분 아래 부천 상동 복합쇼핑몰을 줄곧 반대해 왔다. 하지만 이보다 5배나 규모가 큰 신세계 복합쇼핑몰에 대한 건축허가를 청라에 내주면서 소위 ‘내로남불’ 아니냐며 그동안 쌓였던 부천시의 불만이 폭발한 것이다.

 

하지만 김 시장의 주장이 감정적 발언으로 매도되는 것은 부천과 인천의 사안이 다르다는 점이다. 실제 부천의 경우 이제야 토지매매계약을 체결하려는 단계이지만 인천의 경우 2011년 송영길 전 시장이 양해각서에 서명하고 토지매매계약을 체결하는 등 현재 행정절차가 70~80% 진행된 상태이다.

 

며칠 전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은 지역 간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사업을 진행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밝혔다. 지난 3월에는 현재 민주당 원내대표를 맡고 있는 우원식 의원(前 을지로위원장)이 부청시청사에 앞에서 “우리당 소속이 시장으로 있는 부천시가 대기업을 위한 행정을 펴고 있어 죄송하다”고 기자회견을 할 정도이다. 이런 상황이면 ‘독불장군 리더십’이 아니라 갈등을 봉합하는 ‘통합의 리더십’을 보여줄 때가 아닌가.

 

이제 내년 지방선거가 10개월이 채 남지 않았다. 선거가 다가올수록 지역별 이해관계와 지자체 이기주의가 맞물려 인천과 부천 간의 갈등은 더욱 증폭되고 첨예해질 것이다. 정작 시민들은 안중에도 없고 지자체장 선거의 유불리로 몽리를 챙기는데 혈안이 될까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부천과 인천이 상생하는 모습을 그려보는 것은 비단 필자만의 바람은 아닐 것이다.

 

이도형 홍익정경연구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