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노후 공공청사·공공임대사업 활용 원도심 개발

국토부, 이달 1차 사업지 공모… 市, 복합개발 방안 추진
청년 도심 주거지·지자체 신청사 확보 ‘일석이조’ 효과

인천시가 정부의 노후 공공청사ㆍ공공임대주택 복합개발 사업을 활용한 원 도심 개발에 나섰다.

 

13일 국토부에 따르면 노후 공공청사를 재건축하면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는 형태의 복합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앞서 문재인 정부는 지난 7월 25일 내놓은 경제정책 방향에서 낡은 공공청사를 공공임대주택, 편익시설, 신청사 등의 복합용도로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사업비는 편익시설 임대료와 임대주택 건설 지원금 등을 통해 충당하게 된다. 사업이 마무리되면 청년들은 저렴한 임대료에 도심 주거지를 확보하고, 지자체는 신청사를 얻을 수 있다. 국토부는 이달 중 지자체 공모를 진행해 오는 12월께 1차 사업지를 확정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10개 군ㆍ구와 함께 공모 신청을 위한 후보지를 물색 중이다.

 

현재 시가 거론 중인 후보지는 동구 보건소 및 만석동 주민센터(동구 만석동 18의 3), 도원동 주민센터(중구 도원동 24의 51), 신포동 주민센터(중구 사동 22의 8), 용유동 주민센터(중구 남북동 928의 6), 가좌3동 주민센터(서구 가좌동 212의 13) 등이다. 이들 공공청사는 원도심에 있는 낡은 건물이거나 공공임대주택이 필요한 청년들이 많이 거주한 지역에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시는 후보지 물색에서 사업 추진에 따른 대체 부지 확보 가능성을 최우선으로 살펴보고 있다. 공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민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대체 공공청사를 마련해야 하는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동구 보건소 및 만석동 주민센터가 후보지로 거론되는 것도 같은 이유다. 이미 넓은 부지를 확보하고 있어 공사를 진행하더라도 한 쪽에 대체 시설을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 시는 이번 국토부의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사업의 성공 모델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차후 시 신청사 건립 등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복합개발 성공 모델을 대입할 수 있다는 구상에서다. 시는 이미 지난 5월 구월동 현 시 청사 운동장 북측 부지에 신청사를 건립하고, 루원시티에 제2청사를 신축하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 같은 구상을 토대로 시는 1차 사업지에 인천지역 공공청사가 선정되면 수익시설보다 공공시설 비중을 높여 신청사와 결합하는 방안 등을 논의하겠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오는 15일 국토부의 사업 설명회가 있을 예정”이라며 “우리 시 역시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사업에 의지를 가진 만큼 1차 사업지 선정에 인천지역 공공청사가 선정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