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군용품 불법반출, 이번엔 뿌리 뽑는다”

경찰, 본보 보도 후 차량 거래내역 조회 등 전면수사 착수
평택세관도 경위 파악 나서… 미군은 비협조적 태도 일관

▲ 평택시 포승읍 평택·당진항 자유무역지역 내 한 물류센터에 경북 김천재산처리처(DAL)에서 반출해 세탁 과정을 거친 군용 트럭들이 판매(수출)를 기다리며 줄지어 서 있다. 오승현기자
▲ 평택시 포승읍 평택·당진항 자유무역지역 내 한 물류센터에 경북 김천재산처리처(DAL)에서 반출해 세탁 과정을 거친 군용 트럭들이 판매(수출)를 기다리며 줄지어 서 있다. 오승현기자
주한미군 부대에서 탄피와 차량 등 군용품이 불법 반출된 것(본보 9월7일자 1면)과 관련해 경찰과 세관이 전방위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특히 군용품의 불법 반출 경로를 파악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25일 평택경찰서에 따르면 평택경찰서 지능범죄수사팀은 본보 보도 이후 주한미군은 물론 차량 판매업자, 고물상 관계자, 중간 연결책 등을 대상으로 전면적인 수사에 나섰다.

 

경찰은 주한미군에서 폐기 처리돼 고철로 나온 차량들이 일련의 세탁 과정을 거쳐 정상적인 차량으로 둔갑, 수천만 원을 호가하는 가격대에 거래되는 비정상적인 상황에 대해 칼을 빼들었다. 현재 경찰은 이같이 세탁된 차량들의 명의자가 하루에도 2~3차례 변경된 점 등을 확인하고, 차량 거래 내역을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

 

또 정상적인 절차로는 국내 차량 번호판을 교부받을 수 없는 군사 작전용 트럭들이 버젓이 국내 번호판을 단 채 판매가 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교통안전공단, 차량등록사업소 등을 통해 세탁 과정을 파악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통안전공단에 주한미군에서 반출된 차량들에 대한 차적 조회 등을 요청한 상태다.

 

경찰은 주한미군 측에 군용품 불법 반출과 관련해 수사 협조를 요청했으나, 미군 측에서 별다른 대처가 없자 직접 수사에 나서기로 결정했다. 

경찰은 주한미군 측에 탄피는 물론 컨테이너를 비롯한 각종 군용품이 외부로 반출된 경위 등에 대해 문의했으나 별다른 대답을 듣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한미군 측은 이전에도 이 같은 사고가 발생할 경우 담당 직원만 미국 본토로 되돌려보내는 등으로 경찰 수사를 방해하거나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해온 바 있다.

 

경찰 관계자는 “주한미군 측에 수사 협조를 요청했으나 묵묵부답인 상황”이라며 “국가 안보와 관련된 만큼 더 이상 시간을 끌 수 없다고 판단해 자체적으로 수사에 착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탄피는 물론 차량 등 군용품들의 불법 반출 정황을 파악하고 있으며, 모든 수사력을 집중해 잘못된 점을 바로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평택세관도 관세청에 신고 후 반출돼야 하는 탄피 등에 대해 유출된 경위 등을 집중 조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철의 경우 별도 신고 없이 반출이 가능하지만, 탄피 등은 군사 용품이기 때문에 고철로 처리하더라도 반드시 세관에 신고 절차를 거쳐야 한다. 

하지만 지난달 평택 주한미군 K-55 기지에서 반출된 탄피의 경우 이런 절차 없이 곧바로 안성의 한 고물상으로 옮겨졌다. 뿐만 아니라 평택세관은 평택·당진항 자유무역지역의 한 물류센터에 보관 중인 군사 작전용 트럭을 비롯해 차량들에 대해서도 불법 여부 등을 확인하고 있다.

 

평택세관 관계자는 “주한미군에서 반출된 군용품들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불법 반출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살피는 단계여서 진행하는 모든 내용을 밝힐 수는 없다”라고 설명했다.

최해영ㆍ이명관ㆍ유병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