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교육 불모지 인천] 完. 범 인천이 나서 예술교육 살리자

“예술인프라 구축 정치권도 함께해야”

인천 예술교육 발전을 위해서는 관계기관과 정치권이 함께 하는 범 인천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 예술 학계의 대체적인 견해이다.

 

12일 인천발전연구원의 ‘인천 지역 예술대학 설립 방안 검토’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인천지역 내 문화기반시설은 2008년 41곳에서 지난해 97곳으로 8년 만에 2배 이상 늘어나는 등 문화예술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에서 예술 인재를 육성할 수 있는 예술전문학교는 인천예술고등학교가 유일하고,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예술종합대학은 전혀 없는 상황이다. 지역을 대표하는 국립 인천대학교의 경우에는 조형예술학부·디자인학부·공연예술학과가 있지만, 전통적 예술영역에 해당하는 음악 관련 학부가 없다.

 

상황이 이런 데도 전문 예술교육기관을 새롭게 만드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게 지역의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인 인천시와 인천시교육청의 공통적 입장이다. 시가 지역에 예술종합대학(4년제)을 설립하는 것은 수도권정비계획법에 가로막혀 불가능하다. 

과밀억제권역과 성장관리권역으로 지정된 인천에 4년제 대학 신설은 금지돼 있기 때문이다. 또 건축비,부지매입비 등 수백억원의 예산이 들어가는 학교 신축 비용과 학교총량제 등에 따라 학교 신설에 제약을 받는 시교육청도 예술전문학교 설립 추진에 엄두를 못내고 있다.

 

예술계 전문가들은 이러한 지역의 상황을 감안할때 시와 시교육청의 협력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최근 시가 설립 비용을 부담하고 시교육청이 학교 운영을 맡는 형태로 추진되는 도림고등학교 이전은 예술교육기관 설립을 위한 본보기가 될 수 있다.

 

홍의택 가천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는 “예술교육기관 설립은 절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규모의 사업”이라며 “예술교육기관 설립은 초중등교육 담당 기관, 고등교육 담당 기관 등이 구분돼 행정적으로 매우 복잡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다만 “의외로 선출직(시장·시교육감)의 의지만으로도 문제는 쉽게 해결될 수 있다”며 “설립에 따른 비용 부담 등에 대해 시와 시교육청의 협력만 이뤄질 수 있다면 예술중학교 설립, 인천예술고등학교 이전 등은 충분히 추진될 수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각종 규제에 막혀 있는 예술종합대학 설립을 대신해 시와 정치권이 지역 국립대인 인천대 안에 음악 관련 학부를 신설하는 의견도 제시됐다.

 

차기율 인천대 조형예술학부 교수는 “인천은 그동안 문화예술의 불모지나 다름없었고, 늘어난 문화기반시설을 제대로 운영할 예술적 인프라가 전혀 갖춰지지 않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며 “인천의 수준에 맞는 예술 관련 전문인력 양성은 매우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령인구가 계속 줄어드는 상황에서 인천대에 음악 관련 학부를 만들어 입학 정원을 늘린다는 것은 시대에 역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오히려 300만 대도시의 걸맞은 예술 인프라 구축으로 바라보고 시와 정치권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입학 정원 확보와 동시에 송도국제도시 ‘아트센터 인천’ 인근 부지 등을 활용해 음악 관련 학부 건물을 신설한다면 인프라 연계성과 비용적 측면에서도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