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주민, 무상 양도 반대 100만 서명운동 전개
“관악수목원은 서울대가 아닌 시민 품으로 돌아와야 합니다”
안양지역 각 동 주민자치위와 사회단체 등이 관악수목원 서울대 무상 양도 반대를 위한 100만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17일 안양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이달 초부터 각 동 주민자치위와 사회단체들은 관악수목원 서울대 무상양도 반대를 위한 100만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안양시 석수동 안양예술공원 끝자락 삼성산·관악산 기슭에 있는 서울대 ‘관악수목원’은 지난 1967년 교육과 연구의 목적으로 국내 최초로 조성된 학술림으로 약 1천554㏊에 1천700여 종, 10만 그루에 이르는 수목이 조성됐다.
관악수목원은 학술적인 목적과 식생 보호를 위해 조성 이후 40여 년 동안 일반인의 접근을 엄격히 제한하면서 ‘비밀의 화원’으로 알려져 관악수목원 개방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돼왔고 지난 2005년 10월부터는 탐방을 목적으로 부분 개방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현재 정부는 서울대 법인화 전환에 따라 종전 서울대가 관리하던 관악수목원을 포함한 국유재산과 물품 등을 서울대에 무상으로 양도하겠다는 논의가 일고 있다.
서울대 측은 교육과 연구ㆍ실습을 위한 필수기능 확보, 멸종 희귀식물에 대한 증식 및 생장모니터링 등을 통한 보전을 위해 서울대가 관리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사유로 무상 양도를 요구하고 있고, 정부는 관악수목원을 포함, 서울대가 관리하고 있는 학술림에 대해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통해 무상 양도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각 동 주민자치위원들은 관악수목원이 법인(서울대) 소유로 전환 시 학교법인 특성상 관악수목원을 교육ㆍ연구 목적의 학술림으로 규정ㆍ관리한다면 접근이 계속 제한되고 수목원에 대한 독점적 관리체계가 구축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관악수목원 서울대 무상양도 반대 서명부를 돌리며 100만 서명 운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 곳곳에 무상양도반대를 주장하는 플래카드도 걸어놓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안양시의원들도 관악수목원 서울대 무상 양도 반대에 적극적으로 동참한다는 의견을 밝히고 있다.
시의회는 지난 7월 열린 제232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를 통해 심재민 의원(자유한국당 비산1·2·3·부흥동)이 발의한 ‘관악수목원 서울대 무상양도 반대 건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킨 바 있다.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이른 시일 내 유동인구가 많은 범계역 등지에서 주민자치위원들과 함께 관악수목원 서울대 무상 양도 반대 서명운동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심재민 의원은 “그동안 관악수목원은 안양 내 있으면서도 비밀의 숲이라 불릴 만큼 엄격한 출입 통제로 인해 시민들의 이용이 제한돼 왔다”며 “이젠 관악수목원이 국유재산으로서 도심 속 녹색 허파의 기능으로 시민들의 힐링 공간으로 활용돼야 하기 때문에 무상양도 반대 운동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안양=양휘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