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일보/민현배 기자] 청탁금지법 위반신고 대비 처벌 실적이 저조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학영 의원은 20일 열린 국민권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현실성 없는 신고조건 및 낮은 수사기관 이첩율의 결과, 전체 신고 건 중 처벌이 1%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권익위 발표에 따르면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10개월간 신고접수 된 4천52건 중 제재처리는 40건이다. 이는 접수된 전체신고의 1%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과태료부과 요청이나 수사의뢰 등 신고처리 역시 121건(3%)에 그친다.
이학영 의원은 “도입과정에서 전 국민적 관심을 생각했을 때 이와 같은 결과는 실망스럽다” 며 “접수된 전체신고 중 외부강의를 제외한 신고접수 건수가 862건에 불과한 것은 엄격한 신고접수 기준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현재 청탁금지법 제3자 신고를 위해선 피신고자의 성명, 주소, 연락처, 직업 등을 기재해야 하고 신고내용을 입증할 각종 증거자료도 첨부해야한다.
이 의원은 “이 정도 요건을 충족시켜 제3자 신고를 하려면 내부고발이나 흥신소를 통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며 “바로 옆에서 부정청탁이나 금품수수가 이루어지는 현장을 목격해도 어디 사는 누구, 직업, 연락처를 알아야 하며 무엇보다 증거를 남겨야 하니 사진 한 장 찍자고 한 뒤에서야 신고가 가능할 지경”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신고접수가 이루어진 후에도 문제는 남아있다. 지난 8월말 기준 권익위에 접수된 청탁금지법 신고 373건 중 종결된 291건의 종결 사유를 보면 ‘증거없음 또는 증거부족’이 44.7%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의원은 “시행 1년인 지금 청탁금지법은 절반의 성공에 불과하다”며 “권익위에 조사권이 있다면 미흡한 증거를 보강해 수사기관 이첩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고 전했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