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 연말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을 본격화하기 위해 대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준공영제 정당성을 피력하고 나섰다. 이에 재정 부담과 일반버스와의 형평성 문제 등의 논란을 잠재우고 준공영제 동의안이 이번 경기도의회 임시회에서 상정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2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0일 경기연구원에서 ‘광역버스 준공영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교통 분야를 소관하는 양근서 경기도의회 제3연정위원장이 좌장을 맡았고, 한국운수산업연구원 조규석 박사와 대전세종연구원 이재영 박사 등이 참석해 준공영제 선례를 통한 시행 효과 및 발전방안, 개선대책 등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도는 준공영제 추진에 대한 공감대를 이끌어 내기 위해 그동안 제기됐던 준공영제 문제점에 대한 보완대책을 제시했다.
도는 준공영제가 도입되면 ▲버스운행관리 시스템(BMS) 구축 ▲버스서비스 개선 위한 도민현장 모니터링 운영 ▲재정운영 투명성 위한 도 차원의 검증기구(가칭 버스재정 지원 검증단) 구성 ▲공개채용 등 기사채용 가이드라인 마련 등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를 기반으로 신뢰성 있는 준공영제를 실시하고 노-노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행정ㆍ재정ㆍ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현재 도는 23일 예정된 연정실행위원회에서 광역버스 준공영제에 대한 도와 도의회 간의 긍정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의회는 임시회 마지막 본회의(24일)를 하루 앞둔 23일 연정실행위에서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주요 안건으로 다룰 예정이다. 앞서 도의회는 토론회와 연정실행위를 지켜본 뒤 본회의에 동의안을 상정할 지에 대해 판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여전히 성남과 고양시 등 일부 시ㆍ군이 참여의사를 밝히지 않는데다 형평성 등을 이유로 일반버스 관계자들의 반대가 남아있어 동의안 상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존재하는 상황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토론회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하는 광역버스 준공영제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보다 확산됐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아직 시행에 따른 우려의 목소리가 있지만 동의안이 상정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수정ㆍ보완해 올 연말 정상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진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