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한국리서치 여론조사, 20대 85%로 가장 높아
경기도민 4명 중 3명이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찬성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도민 1천명을 대상으로 지난 21일 도정 여론조사를 시행한 결과 도민 74%가 광역버스 준공영제 추진 계획에 찬성했다고 29일 밝혔다. 반면 광역버스 준공영제 추진에 반대한다는 의견은 21%였다.
지역별로는 준공영제 참여대상 22개 시·군 주민은 76%, 성남·고양 등 현재 불참 의사를 밝힌 지역의 주민 74%가 찬성하는 태도를 보였다.
연령대별로는 도내 광역·시내버스인 G버스 이용 빈도가 높은 20대 중 85%가 버스 준공영제에 찬성한다고 응답했고, 20대 이외 연령대의 69%가 찬성했다.
버스 준공영제에 기대하는 점은 ‘사용자 중심의 노선조정을 통한 이용자 접근성 향상’(39%)과 ‘운전기사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도민안전 확보’(33%) 였다.
하지만 ‘세금부담이 커질 가능성’(39%)과 ‘버스회사의 안정적 이윤보장 수단으로 전락할 가능성’(26%) 등을 우려 사항으로 꼽았다.
또 시내버스에 대한 준공영제 도입 확대 찬반 질문에는 도민 57%가 찬성했다.
이 밖에도 도의 버스체계 운영 방식에 대해서는 ‘민영체제를 유지하되, 정부나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준공영 방식’(49%)을 가장 선호했고 ‘시장원리에 맡겨야한다’는 완전 민영화는 20%, ‘지자체가 직접 버스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완전 공영화는 28%로 각각 조사됐다.
장영근 도 교통국장은 “대부분의 도민이 광역버스 준공영제 추진에 대해 찬성하는 의견을 보인 만큼 도의회, 참여 시·군 등과 함께 광역버스 준공영제가 시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내년 1월 시행을 목표로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추진했으나, 경기도시장군수협의회가 ‘도, 도의회, 시·군, 시·군의회’의 4자 협의체 구성을 제안하고 도의회는 ‘22개 시·군 협약 동의안’ 처리를 보류하는 등 제동이 걸린 상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