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역버스 준공영제, 흔들림 없이 추진”

도의회 시행 협약 동의안 보류에도 강행 의지 피력
南지사 “기사간 차별문제 공감… 시내버스까지 확대”
4자 협의체 의견 수렴·시군별 협의 실시 ‘투트랙’

▲ ‘경기도 버스 준공영제 관련 기자 간담회’가 열린 24일 경기도청 집무실에서 남경필 경기지사가 버스 준공영제 추진 방향을 밝히고 있다. 조태형기자
▲ ‘경기도 버스 준공영제 관련 기자 간담회’가 열린 24일 경기도청 집무실에서 남경필 경기지사가 버스 준공영제 추진 방향을 밝히고 있다. 조태형기자
경기도의회가 ‘경기도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 협약 체결 동의안’을 또다시 유보한 가운데 경기도는 올 연말 시행을 강행하겠다며 정면돌파 의지를 피력, 충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4일 도와 도의회에 따르면 도의회는 지난 9월 임시회에 이어 이날 열린 제323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 협약 체결 동의안’(이하 동의안) 처리를 보류했다.

 

이는 앞서 경기도시장군수협의회가 ‘도-도의회-시장군수협의회-시군의장협의회’가 참여하는 4자 협의체를 구성한 뒤 준공영제 실시 여부를 판단하기로 한 결정을 존중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는 도의회의 이 같은 보류 결정에도 불구, ‘광역버스 준공영제 취지에 대해서는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며 기존대로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이날 오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안전과 서비스 향상은 민생 문제로 정쟁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경기도는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남 지사는 오는 26일께 4자 협의체를 구성하는 시장군수협의회장, 시군의회협의회장, 도의회 의장 등을 찾아 의견을 청취한다는 계획이다. 또 4자 협의체의 의견을 수렴하는 한편 각 시ㆍ군과의 개별 논의도 병행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도는 광역버스 준공영제에 이어 시내버스 준공영제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는 버스 준공영제 추진에 대한 노조측의 요구를 일부 반영하려는 도의 의지로 분석된다.

 

남 지사는 “(광역버스 준공영제로) 같은 버스회사에서 광역버스와 시내버스 기사분들 간 처우 차별문제가 제기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며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 이후 시내버스 준공영제도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도는 시내버스 준공영제 기획단을 구성해 4자 협의체, 시·군과 논의를 시작할 계획이다.

 

현재 도는 광역버스에 시내버스까지 준공영제를 시행할 경우 연간 1천∼2천억 원의 도비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광역버스 준공영제에는 도비 44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남 지사는 “일부에서 완전공영제를 주장하는 의견도 있으나 (재정여건 등) 현실성이 떨어진다. 재원 마련이나 방향성에 대한 현실적인 제안을 한다면 논의해보겠다”며 “도는 준공영제가 도민들의 안전을 위한 최우선의 방법이라고 판단, 반드시 추진할 방침이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종석 수석부대표(민주당ㆍ부천6)는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더 신중히 고민해 추진하기로 한 마당에 시내버스까지 확대하겠다고 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면서도 “도민 안전이라는 큰 틀에서 준공영제를 반대하지 않는다. 4자 협의체 의견을 철저히 존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준상ㆍ한진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